The study is to structure materials of cultural arts in “Namdo(Jeollanamdo and Gwangju)” province. Especially the study focuses on establishing description elements for serving diverse materials. First, the authors makes the draft version(4 entities, 28 elements and 115 subelements) by reviewing literature and conducting case study. Then, experts review the draft version and the authors draws final version that consists of 4 entities(materials, performances, agents, facilities), 28 elements and 117 subelements. From the viewpoints of locality, cultural arts materials, and cultural artists, the description elements in this study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studies.
국가기록원. 2016. 국가기록원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 (NAS/K 8: 2016(v2.1)). 파주: 국가기록원.
김경연. 2012. 아트아카이브 메타데이터 설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 전공.
김상헌, 손정훈. 2008. 아시아문화지도 문화분류체계와 기반기술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1: 173-203.
김선미, 김익한. 2011. 만화기록 관리 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28: 35-81.
김진성. 2011. 영화 기록의 기술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0: 89-123.
김진용. 2013. 개인아카이브의 유형별 특성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류한조. 2013. 문화 아카이빙 정착을 위한 방향 연구. 기록학연구, 37: 41-74
문순덕. 2012. 제주문화지표 개발과 활용 방안. 제주: 제주발전연구원. 재인용: 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 2017.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실태조사 및 활용을 위한 분류체계 연구 (p. 42).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박옥남, 오삼균, 김세영. 2009. 문화예술교육 패싯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197-219.
부산문화예술 전자아카이브. 2018. <http://e-archive.bscf.or.kr> [인용 2017. 12. 30].
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 2017.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실태조사 및 활용을 위한 분류체계 연구(KACEー1670-R003).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서울연구원. 2015. 서울문화지표 체계구축 연구(연구-2014-01). 서울: 서울문화재단.
설문원. 2010. 지역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적용. 기록학연구, 26: 103-149.
설문원. 2011. 예술기록의 분류와 정리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2): 217-247.
송병호. 2009. 기록과 정보의 상관관계. 기록학연구, 20: 3-32.
양서희. 2011. 지역문학관 활성화를 위한 문학기록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오동욱. 2013. 지역문화예술 아카이브에 관한 연구: 공연분야를 중심으로. 대구경북개발연구, 12(1): 99-122.
오삼균, 권기성. 2007. 전통예술자료 아카이빙을 위한 보존 메타데이터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387-412.
오세준. 2016.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문화적 맥락과 Cultural Arts의 개념.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7(1): 71-87.
유동환. 2013. 디지털 문화유산 연구의 현황과 전망. 문화콘텐츠연구, 3: 95-121.
이동수, 김현수, 서윤아, 윤니나. 2017. 지역 문화예술교육자원 분류체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문화산업연구, 17(3), 75-84.
이명규. 2015. 아시아문화정보원의 문화자원 분류체계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1): 319-340.
이옥희. 2014. 남도 문화예술의 미적 특성과 문화 가치. 용봉인문논총, 44: 33-57.
이은화. 2009. 아카이브즈 개인 기록 컬렉션 관리에 관한 연구 - 배민수 컬렉션 분석을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이재나, 김용, 오효정, 김건. 2015. 웹툰 아카이브 설계 및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4): 123-149.
이정연. 2009. 구술사 기록물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모델링 및 표준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6(1): 163-184.
이지은, 김지현. 2015. 미술관 아카이브 기술요소 제안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46: 45-93.
이창민. 2015. 다중 출처 기반의 공연예술자료 기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장지영. 2017. 미술작가의 기록 생산과 활용에 관한 질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장혜윤, 임채홍. 2017. 문화예술교육 분야별 특성과 분류체계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정책연구, 17(2): 27-52.
정공주, 박주석. 2014. 시각예술 작가 기록물 수집전략 및 기록정보 관리 연구. 기록학연구, 40: 61-93.
정옥경. 2010. KDC 예술류(600) 분류항목전개의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3), 109-122.
조수민. 2015. 기능 영역 기반 미술기록 메타데이터 기술 요소에 관한 연구: 대전시립미술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조정임. 2010. 대중음악 기록관의 구축과 기록관리.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한국기록관리학회 편. 2013. 기록관리론: 증거와 기억의 과학 (3판). 성남: 아세아문화사.
한국도서관협회. 2013.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6. 2016년 문화향수 실태조사 (11-1371000-000452-11).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한희정, 김태영, 김용. 2016. 다중개체모형을 적용한 무형문화유산 메타데이터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3): 329-359.
허지수. 2013. 미디어아트 도큐멘테이션을 위한 메타데이터 기술요소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황진현. 2012. 시각예술기록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