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병원 내 의학도서관 운영현황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Operation Status of the Medical Library in the Hospital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9, v.50 no.2, pp.61-96
https://doi.org/10.16981/kliss.50.2.201906.61
노영희 (건국대학교)
신영지 (건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병원 내 의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서비스 대상, 장서, 시설 및 환경, 직원, 서비스 등에 대한 전반적인 운영현황을 조사하고, 해당 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도서관의 수요조사 및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향후 병원 내 의학도서관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병원 내 의학도서관이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고 도서관 서비스의 질을 높임으로써 도서관의 위상을 높이려면, 조직상 독립부서로 분리되어야 한다. 둘째, 병원 내 의학도서관에 대한 장서, 규모, 인력에 대한 법적 기준 제정이 필요하다. 셋째, 체계적인 병원 내 의학도서관 운영을 위해 도서관 고유업무와 행정업무가 구별될 수 있도록 전문직 사서의 지원과 인력 충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병원 내 의학도서관 활성화를 위해 국가적 차원의 예산 지원, 사서의 전문화 교육, 운영 가이드라인 개발, 타 도서관과의 네트워크 활성화 등의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의학도서관, 의료분야 도서관, 수요조사, 운영현황, 활성화방안, Medical library, Library of medical field, Survey of demand, Operational status, Activation plan

Abstract

In this study, the medical library in the hospital was investigated on the overall operation status of the service target, books, facilities, environment, staff, service, etc., and the librarian in question conducted a demand survey and recognition survey of the library, and proposed a plan to activate the medical library in the hospital in the future. As a result, first, to increase the status of the library by the medical library in the hospital performing its rol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library 's service, it should be divided into the independent organization in the organiz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egal standards for collection, size, and manpower for medical libraries in hospitals. Third, in order to systematically manage medical libraries in hospitals, professional librarians should be supported and personnel should be recruited so that library-specific tasks and administrative tasks can be distinguished. Fourth, it seems that policies to support the medical library in the hospital, such as budget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librarian specialization education, development of operation guidelines, network activation with other libraries are needed.

keywords
의학도서관, 의료분야 도서관, 수요조사, 운영현황, 활성화방안, Medical library, Library of medical field, Survey of demand, Operational status, Activation plan

참고문헌

1.

김에스더, 남영준. 2015. 의학도서관의 단행본 장서구성을 위한 이용자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2(3): 261-276.

2.

김의연. 2015. 종합병원 행정직원의 조직문화 인식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행정학과.

3.

남태우, 김은주. 2010. 의학도서관 장서관리정책 사례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1): 79-102.

4.

노동조, 김정아. 2010. 의학도서관 웹사이트의 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1(3): 45-56.

5.

노영희. 2014. 공공도서관과 의학도서관의 건강정보서비스 제공현황 비교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2): 339-360.

6.

박정미. 2012. 사서의 독서 지원 서비스에 대한 인식도 조사 : 병원 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7.

송준용. 2000. 한국의 의학학술잡지 공동이용을 위한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1(1): 45-66.

8.

송준용. 2001. 의학 도서관간 외국 학술 잡지 공동 이용을 위한 분담 수서. 문헌정보학, 7: 125-164.

9.

송준용. 2002. 의학도서관 간 외국학술잡지 공동이용의 발전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3(1): 283-314.

10.

신영지, 노영희. 2018. 의료분야 관련 도서관의 개념 및 정책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9(4): 237-263.

11.

오문숙. 1996. 병원도서관의 정보봉사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2.

윤봉자. 1996. 한국 의학도서관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3.

이연주. 2009. 의학도서관 이용자교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4.

이인수. 1986. 한국 의학도서관 현황 실태조사.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지, 9(1-2): 9-17.

15.

임성관. 2015. 의학도서관 사서의 독서치료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2): 227-255.

16.

임현정, 조혜민 2003. 의학도서관에서의 연구 논문 지원 서비스.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5-25.

17.

장혜란, 김정아. 2012. 의학학술지종합정보시스템(MEDLIS)의 원문제공서비스 이용 분석과 평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3): 233-250.

18.

장혜란, 김정아. 2013. 의학도서관을 위한 인쇄본 학술지 공동보존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3): 249-271.

19.

장혜란, 김정아. 2017. 의학도서관 사서들의 직무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1): 245-269.

20.

조찬식. 2006. 의학도서관의 경영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2): 263-280.

21.

조찬식, 한혜영. 2005a. 웹페이지를 통한 의학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실태조사. 정보관리학회지, 22(2): 87-101.

22.

조찬식, 한혜영. 2005b. 서울시 의학도서관의 웹페이지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실태조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6(1): 133-151.

23.

조화순. 2011. 의학도서관 이용자의 전자저널 이용행태와 서비스품질 지각 분석 : K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및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4.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기준특별위원회. 2013. 2013.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5.

Langner, M. C. 1974. “User and user services in health sciences libraries: 1945-1965.”In Library Trends, 23(1), 7-30.

26.

Lee, Jongwook. 2018. “Information Dimension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octoral Mento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8(3), 5-28.

27.

Noh Younghee, In-Ja Ahn, and Miyoung Park. 2011. “A Study on Librarian Service Providers’ Awareness and Perceptions of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1(2), 29-4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