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도서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the Influence of Libraries on the Quality of Life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9, v.50 no.4, pp.101-135
https://doi.org/10.16981/kliss.50.4.201912.101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만족도가 소득고용, 교육, 문화여가, 가족공동체, 시민참여, 안전환경, 주관적 만족도로 구성되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정규분포 정도(왜도와 첨도)와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하였다. 첫째, 도서관 서비스 만족도가 소득 및 고용 부분의 삶의 질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서관 서비스 만족도는 삶의 질 중 교육부분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서관에 대한 종합적인 만족도는 삶의 질 중 문화/여가/건강 등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도서관의 프로그램서비스, 종합적 부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가족·공동체 만족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도서관의 프로그램서비스와 종합적 부분이 높아질수록 시민참여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도서관의 프로그램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안전/환경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서관의 공간/장소서비스와 도서관에 대한 종합적인 만족도가 높을수록 주관적 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도서관에 대한 각종 지원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도서관 서비스, 도서관 서비스 만족도, 삶의 질, 영향관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influence the satisfaction of the services rendered by libraries has over the satisfaction of life, which is consisted of income employment, education, cultural leisure, family community, citizenry participation, safety environment, and subjective satisfaction.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users of public libraries, and the extent of the measurement tools' regular distribution (skewness and kurtosi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alidated.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satisfaction of library servic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ver the satisfaction of life for income and employment. Second, the satisfaction of library service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ducational part of the satisfaction of life partially. Third, the overall satisfaction of library turned out to have influence over the satisfaction of culture, leisure, and health among the satisfaction of life. Fourth, it turned out that the greater the satisfaction of the library's program services and comprehensive parts, the higher the family and community satisfaction will be. Fifth, the citizenry participation increased as the library's program services and comprehensive parts increased. Sixth, as the satisfaction of library services increased, the satisfaction of safety and environment also increased. Finally, the subjective satisfaction increased as the library's space and place services and the library's overall satisfaction increased. Such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various support for libraries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of the people.

keywords
도서관 서비스, 도서관 서비스 만족도, 삶의 질, 영향관계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