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도서관 복합문화공간 이용요인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Importance-Performance on the Use factor of Complex Cultural Space in Librar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9, v.50 no.4, pp.511-537
https://doi.org/10.16981/kliss.50.4.201912.511
노지윤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 (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최근 공공도서관에서 복합문화공간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복합문화공간 이용요인에 관한 이용자의 중요도-만족도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도서관 이용자의 복합문화공간 이용 차원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어떤 요소에 더 중점을 두고 개선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41개의 도서관 복합문화공간요인 중 5개 항목에서만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특정 부문이 아닌 우선적인 개선 부분을 중점으로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도서관 복합문화공간의 이용자들은 혼자(42%) 또는 가족(18.2%)과 함께 주로 이용하며 주말 오전과 오후를 포함한 이용자 수(35%)보다 평일 오후에 이용하는 사람(50.5%)이 더 많다는 점 등의 방문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공간과 관련한 5개의 이용요인 중 '컴퓨터/장비 사용의 구비성'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이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게 나타나는 1사분면 또는 중요도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는 4사분면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도서관이 복합문화공간으로서 기본적으로 지향하는 공간의 다양화 및 복합화를 충분히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넷째, IPA분석을 적용한 도서관 복합문화공간 이용요인에 관한 중요도-만족도 차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도서관 복합문화공간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도서관, 복합문화공간, 도서관 복합문화공간, 중요도, 만족도, 중요도-만족도, 분석IPA, 이용요인

Abstract

At a time when trend called complex cultural space has recently been taking place in public libraries, this study analyzed the importance-performance of users regarding the use factors of public library's complex cultural spa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attempt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library users' use of this space, and to suggest directions on which factors should be improv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nly 5 of 41 factors for library complex cultural space have higher satisfaction than importance, so it is necessary to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with focus on priority improvements rather than a specific sector.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programs and services in consideration of visit characteristics, such as the users of the library complex cultural space are mainly used by themselves (42%) or with their families (18.2%), also more people (50.5%) use weekday afternoons than 35%, including weekend mornings and afternoons. Third, among the five use factors related to space, the remaining items except for 'Compatibility of Computer / Equipment Use' are located in the first quadrant where bot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re high or in the fourth quadrant which shows higher satisfaction than importance. This is a result that shows that the library is fully performing the diversification and complexion of the space basically aimed as a complex cultural space. Four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ublic library's complex cultural space in the futu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importance-satisfaction the use of factors using the IPA analysis.

keywords
도서관, 복합문화공간, 도서관 복합문화공간, 중요도, 만족도, 중요도-만족도, 분석IPA, 이용요인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