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저경력 사서교사의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 형성 과정 탐색

A Study on the Practical Knowledge of Low-Experienced Teacher Librarian in Library Based Instructi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0, v.51 no.4, pp.1-24
https://doi.org/10.16981/kliss.51.4.202012.1
이승민 (홍천여자고등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저경력 사서교사의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는 교직 경력 3년 차 이하의 신규 사서교사 6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자료에서 실천적 지식의 영역인 교사 자신에 대한 지식과 교수·학습에 대한 지식을 중점을 두고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교사에 대한 교사 자신에 대한 지식은 학생과 교사를 독서교육과 정보활용교육으로 이끌어 가는 리더십 있는 교사였다. 둘째, 사서교사에 대한 교사 자신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예비교원양성과정에서 가장 구체적으로 형성되었으며, 학교 현장에서 교사상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일어나고 있었다. 셋째,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은 도서관협력수업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수업 방법을 배우고 익히며 현장에 적용하고 있었다. 넷째, 도서관활용수업의 교·학습 방법에 대한 지식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원양성과정과 교육실습활동이 학교 현장에 대한 내용을 반영하여 변화해야 하고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수업 읽기와 수업 분석이 지속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도서관활용수업, 실제적 지식, 저경력, 사서교사, 교사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forming practical knowledge about library-based instruction of low-experienced teacher librarians. The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six teacher librarian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focused on the teachers' self-knowledge and instructional knowledge, which are in the areas of practical knowledg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knowledge of teacher librarians was a teacher with leadership, who led students and teachers to reading educa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Second, the self-knowledge of teacher librarians was most concretely formed in the process of pre-service teacher training, and the reflection on the teacher's image was taking place in the school field. Third, the knowledge of the instructional knowledge for library-based instruction was focused on library collaborative instruction, and various teaching methods were being learned and applied in school field.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structional knowledge of library-based instruction among teacher librarians. Through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teacher training course and educational practicum activities should be changed by reflecting the contents of the actual school field, and the analysis of library-based instruction should be continued.

keywords
도서관활용수업, 실제적 지식, 저경력, 사서교사, 교사상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