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소셜 Q&A 사이트의 질문 분석을 통한 청소년의 성 정체성(sexual identity) 고민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Sexual Identity-related Concerns through the Analysis of Questions on a Social Q&A Site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0, v.51 no.4, pp.101-119
https://doi.org/10.16981/kliss.51.4.202012.101
주영준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남서진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이다정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이용정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소셜 Q&A 사이트인 네이버 지식iN에서 성 정체성과 관련된 질문들을 분석하여 질문의 중심이 되는 주제를 추출하고 구체적인 고민들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네이버 지식iN에서 2010년부터 9년간 작성된 2,120개의 관련 질문들을 수집한 후, 자연어 처리와 정보 검색 방법을 사용하여 질문들의 주제와 고민들을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요 주제는 인간관계, 성 정체성 의심, 성적 지향, 감정 및 관계, 성 정체성 고민 등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사용자들은 주로 1) 일반적인 성 정체성, 2) 성적 지향, 3) 성 정체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 4) 감정 고백, 커밍아웃, 동성애, 5) 미래, 이성 관계, 군대에 대한 우려, 6) 성 정체성 혼란을 겪는 이유 등과 관련된 고민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성 정체성에 대한 실제적 고민들을 수집하여 토픽 모델링 기법을 통해 정보 요구를 도출하였으며 exact match와 tf-idf 기반의 검색 방법을 비교함으로써 문헌정보학 분야의 방법론적 확장을 시사했다. 또한 특정 관심사에 대한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들의 정보요구 및 정보탐색행태를 관찰함으로써 정보행위분야의 학문적 성숙에도 기여했다.

keywords
소셜 미디어, 소셜 Q&A, 성 정체성, 자연어 처리, 정보 검색, 토픽 모델링

Abstract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major topics and concerns of gender identity-related questions expressed by the users of the NAVER social Q&A site. To achieve this goal, we analyzed 2,120 questions created from 2010 to 2018 using natural language- and information retrieval-based methods.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jor topics discussed by the users includ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oubts about gender identity, sexual orientation, feelings and relationships, and concerns about gender identity. In addition, users mainly expressed concerns regarding general issues of gender identity; sexual orientation; negative cognition about gender identity; confession, coming-out, homosexuality; future, heterosexual relationships, military enlistment; and causes of gender identity confusion. The present study effectively derives information needs from real-world concerns about sexual identity by employing topic modeling techniques, and by comparing the advantages of exact match and tf-idf-based information retrieval methods extends methodolog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urther, it has contributed to the academic maturity of the study of information behavior by observing the information needs or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of online community users with specific interests.

keywords
소셜 미디어, 소셜 Q&A, 성 정체성, 자연어 처리, 정보 검색, 토픽 모델링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