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독서 연구 동향 분석

A Study on Analysis of Reading Research Trends in Korea's LIS Field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0, v.51 no.4, pp.59-81
https://doi.org/10.16981/kliss.51.4.202012.59
김현숙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강보라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20년 간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독서 연구 동향을 2000년대와 2010년대로 나누어 키워드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을 통해 문헌정보학 분야 4대 학회지에서 수집한 관련 논문 489편의 저자 키워드를 추출하여 NetMiner4를 활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2000년대의 경우 '공공도서관', '독서치료', '독서교육', '학교도서관' 등이 빈도분석,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값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2010년대의 경우 '독서교육', '학교도서관', '어린이', '청소년', '공공도서관'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2000년대는 독서 환경과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 및 제도 개선, 도서관 인프라 구축, 독서운동을 통한 독서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다면 2010년대에는 2000년대 노력과 연구를 기반으로 이용자 맞춤형 독서 연구와 다양하고 세부적인 독서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셋째, 4차 산업혁명 시대 창의성과 상상력을 갖춘 인간다움의 회복이라는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공공도서관, 학교도서관 등 특정 관종 도서관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다양한 환경과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독서연구와 전문적이고 심도 깊은 학제적 연구, 현장과 학계의 활발한 공동연구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독서, 연구 동향, 네트워크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trend of reading research in Korea's LIS Fields in the past 20 years, divided into the 2000s and 2010s, by establishing a keyword network. To achieve this purpose,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489 related articles in the four major journals in the LIS field sourced from the Korean Journal Citation Index (KCI) and then analyzed using NetMiner4.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2000s, 'Public Library', 'Bibliotherapy', 'Reading Education', and 'School Library' showed high values of Frequency Analysis,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In the 2010s, 'Reading Education', 'School Library', 'Children', 'Adolescents', and 'Public Library' showed high values of the aforementioned measures. Second, in the 2000s, the establishment of library infrastructure for reading and reading education, the improvement of policies and systems, and reading research through the reading movement were actively conducted. In the 2010s, based on the work and research done in the 2000s, customized user reading studies and various detailed reading research were conducted. Third,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for the restoration of humanity with creativity and imagin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ading research and professional in-depth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various environments beyond public and school libraries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active joint research between the field and academia are needed.

keywords
독서, 연구 동향, 네트워크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