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국내 대학도서관의 체계적 문헌고찰 서비스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Review Service for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2, v.53 no.3, pp.137-168
https://doi.org/https://doi.org/10.16981/kliss.53.3.202209.137
이혜영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외 대학도서관의 SR(Systematic Review, 이하 SR) 지원서비스 사례조사를 통하여 국내 대학도서관에서의 SR 지원서비스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총 119개 국외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전(全) 주제(학문) 분야와 의학 분야로 구분하고 서비스 분야, 서비스 대상자, 홍보, 사서역할(상담자, 협업자), 교육, 사서소개, 팀 구성, 신청양식, SR 이론적 내용, 기타 등 총 10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 대학도서관의 SR 지원서비스는 의학 분야를 시작으로 자연과학, 공학, 사회과학 등의 학문 분야로 확대되고 있으며, SR 서비스를 담당하는 사서의 역할을 상담자와 협업자 역할로 구분하여 각각의 사서역할에 따라 지원 시간과 서비스 내용 및 공동저자 인정 여부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SR 지원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검색전략·기술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SR 지원서비스의 홍보는 담당사서의 서비스 주제분야 및 학과와 연구를 위한 팀 구성에서 사서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조사 분석을 통해 국내 대학도서관에서도 SR 지원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하며 교육과정에서 전문적인 검색교육이 강화되어야 하고, KERIS 등과 같은 대학도서관 유관 단체에서 사서를 대상으로 체계적인 SR 교육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keywords
체계적 문헌고찰 서비스, 연구지원서비스, 대학도서관, 검색전략교육, 커뮤니케이션 역량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for establishing SR (systematic review, hereinafter called SR) support services in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through a case study of SR support services in overseas university librarie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19 overseas university libraries were divided into all fields (subjects and disciplines) and the medical field. And A total of 10 areas such as service fields, service subjects, public relations, librarian roles (counselors, collaborators), education, librarian introduction, team member, application form, SR theoretical content, and others were divided and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SR support service of the university libraries being investigated is expanding from the medical field to academic fields such as natural science, engineering, and social sci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service support hours, services, and whether co-authors wer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role of the librarian. Educational services are provided to users for the SR support service with a focus on retrieval strategy and skills. In the promotion of the SR support service, the librarian must suggest that it should be included. The importance of SR support services for Korean university libraries should be emphasized through the analysis of SR support services for overseas university libraries, professional search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in the curriculum. Also Organizations related to university libraries such as KERIS have suggested that systematic SR education support is needed for librarians.

keywords
체계적 문헌고찰 서비스, 연구지원서비스, 대학도서관, 검색전략교육, 커뮤니케이션 역량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