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국내 대학도서관 정책 성과에 대한 현장 인식 조사

Field Perception Analysis on Policy Outcomes of Academic Librari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3, v.54 no.4, pp.415-436
https://doi.org/10.16981/kliss.54.4.202312.415
이종욱(Jongwook Lee)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강우진(Woojin Kang)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정영미(Youngmi Jung) (동의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제2차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2019~2023)의 완료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기존 종합계획의 추진과제에 대한 이행 수준을 대학도서관 주요 통계와 도서관 직원의 인식을 토대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5년간 대학도서관 주요 통계 지표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도서관 직원을 대상으로 제2차 종합계획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17개 세부과제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을 설문 조사하였다. 총 369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 응답자는 제2차 종합계획에 대해 잘 알고 있었으며, 도서관 발전계획이나 시행계획 수립에 빈번하게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세부과제 17개에 대한 IPA 분석 결과, 대학의 유형과 상관없이 시설 개선이나 교수-학습 지원, 학술자원 접근성 확대는 꾸준히 유지되어야 하며, 도서관 정책을 개발하고 인력과 재정을 확충하기 위한 노력이 강화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4년제 대학은 전문대학에 비해 해외 학술자원의 접근성 확대를 특히 중요시하고 있었으며, 전문대학은 4년제 대학에 비해 기초소양 함양 프로그램이나 포용적 서비스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IPA 대각선 모형 적용 결과 모든 세부과제에 대한 수행도가 중요도에 비해 낮은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는 추후 종합계획 수립 시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전략적 모색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
대학도서관,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 정책 성과, 인식 분석

Abstract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the second comprehensive plan for promoting academic libraries (2019-2023) by analyzing key statistics of academic libraries and gathering perceptions from library staff. We analyzed the changes in major statistical indicators of libraries over the past five years. Additionally, we surveyed library staff to understand their overall perceptions of the plan and their attitudes towards the 17 sub-tasks outlined in it. The analysis of 369 survey responses revealed several key findings. Firstly, most respondents comprehended the plan well and frequently utilized it for developing their librarie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plans. Secondly, the IPA results indicated that regardless of the type of university, there should be a continuous focus on facility improvement, teaching-learning support, and expanding access to academic resources. Efforts to develop library policies and strengthen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were identified as crucial. Thirdly, four-year universities particular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xpanding access to international academic resources compared to junior colleges.Conversely, junior colleges perceived foundational skill-building programs and inclusive services as more significant than four-year universities. The application of the IPA diagonal model revealed that the performance levels of all sub-tasks were lower than their perceived importance levels, suggesting the need for strategies to enhance effectiveness in future comprehensive plan formulation.

keywords
Academic Library, Comprehensive Plan for the Promotion of Academic Libraries, Policy Outcomes, Perception Analysis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12-06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3-12-1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