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역의 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독서실태와 기존의 독서문화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와 개선점, 더불어 향후 희망하는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유형과 방향성이 무엇인지 면밀히 조사하고 분석하여 지역맞춤형 독서문화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온․오프라인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응답자는 609명이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시사점을 도출하면, 첫째, 독서 활동의 정의가 전통적인 종이책을 넘어 다양한 디지털 매체로 확장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프로그램 개발 시 이러한 변화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독서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주요 이유로 시간적 여유 부족과 정보 부족이 나타난 만큼, 도서관과 관련 기관은 보다 유연한 시간대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효과적인 홍보 전략을 통해 참여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셋째, 도서관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지속성과 다양성을 강화해야 하며, 넷째, 연령별 주제, 시간, 규모, 유형 등을 차별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이용자조사를 통한 프로그램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서관 독서문화프로그램 개선 및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ecur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locally customized reading culture programs by closel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reading practices of local library users, their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existing reading culture programs, and the types and directions of reading culture programs they would like to see in the futur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users of public libraries in the Busan area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with 609 respon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drawn: First, the definition of reading activities is expanding beyond traditional paper books to various digital media, a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is change in future program development. Second, as lack of time and lack of information were identified as the main reasons for non-participation in reading activities, librar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should offer programs at more flexible times and expand participation opportunities through effective promotion strategies. Third, the continuity and diversity of library reading culture programs should be strengthened, and fourth, they should be differentiated in terms of topics, time, size, and type by age group. Finally, programs should be improved through continuous user survey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improving and developing library reading culture program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