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상담과 심리치료에서 다루는 심상 기능과 특징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the Clinical Function and Attributes of the Image in Psychotherapy - the comparison study of the dysthymia and the normal group -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심상의 임상적 기능과 특징 등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논문의 서론 및 본론 부분에서는 심상에 관한 임상적 의미, 심상치료의 역사 및 독일의 Kathathymes Bilderleben 심상치료(이하 KB심상치료로 약칭)의 현 상태 등을 간략히 제시하였고, 그 다음 실험 연구를 통해서 심상치료 뿐만 아니라 모든 심리치료 기법들이 다루는 심상 현상을 과학적 방법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연구에서는 우울 신경증(dysthymia) 집단을 실험 대상으로 선정하여, 피험자들이 KB심상치료의 가장 기본적 심상 기준 척도인 '꽃' 심상과 Strobocope 원리에 의거하여 유발되는 시각적 율동 자극(Rhythmic- Photic-Stimulation 이하 RPS로 약칭)에 의하여 체험되는 심상현상을 어떻게 체험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의 가설은 우울 신경증(dysthymia) 집단은 정상집단에 비하여 심상 현상을 체험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양 집단이 체험하는 심상색상의 내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Scheffler, 1994). 우울신경증 집단을 정상집단과 구별하기 위해서는 3가지 우울척도 검사(MMPI-D, BDI, SDI)를 사용하였고, 이 후 양 집단 모두에게서 심상을 체험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소요 시간을 측정하였다. RPS 자극에 의하여 체험되는 심상 형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Strobocope 원리에 의거하여 제작된 일명 RPS-불꽃안경(RPS-Flameglasses)의 실험도구를 사용하였으며(Czycholl, 1984), KB '꽃' 심상은 Schultz (1966)의 자율 이완법(Autogene traning)의 기본 이완단계에서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우울신경증 집단이 정상집단보다 심상 체험에 있어서 유의미하게 느리게 반응하였으며, 이들이 체험한 심상의 내용과 모습도 정상집단과 비교하여 질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나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KB심상치료의 기본 심상 기준 척도인 '꽃' 심상과 Strobocope 원리에 의거하여 유발되는 시각적 율동 자극제시로 심상현상의 치료적 기능과 진단적 기능을 실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나아가 심상체험 반응의 측정방법을 통하여 신경증 장애의 유무를 상당히 신뢰스럽게 규명할 수 있는 심리진단적 가능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clinical meaning of image, the current state and history of the image therapy, and the theory and method of the Kathathymes Bilderleben image thrapy(KB image therapy). And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image diagnose and differentiate the neurotic and normal correctly by the experiment method and study. In the experiment, the experiences of flower image and Rhythmic-Photic Stimulation(RPS) of the 57 subjects and 45 controls were analyzed, and investigated.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reaction time of flower image and RPS of the dysthymic were significantly later than of the normal group. Second, the experience image contents of the dysthymic are different from them of the normal (Scheffler, 1994). To select the dysthymic from the normal, BDI, MMPI-D, SDI were used. The flower image was practiced after relation training, which is automatic training of Schultz(1966), and for the RPS experience and measurement, RPS-Flame glasses(Czycholl, 1984; Stampfer, 1832), which is made according to Stroboscope pricciple, were used. In the experiment result, the reaction time of the dysthymic were significantly later than the normal, and the image contents of flower and RPS between the dysthymic and norma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is study could experimentally testfy the diagnostic function of the image, which diagnose the neurotic and the normal, and suggestion that the image is very important thrapeutic mediator in image therapy. So it is suggested and implied that the image of the image therapy has not only therapeutic function, but also diagnostic function by this experiment study. 33

keyword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