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여성주의 시각을 가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기존의 집단상담에 비해서 여성주의 정체성 향상과 적응에 더 효율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률 알아본 것이다. 이 연구목적을 위하여 588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여성주의 정체성 발달 검사, 성역할 특성 검사, 스트레스 측정 검사, 그리고 자아존중감 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조사자료를 토대로 전통적인 성역할을 수행하는 여성 즉, 수용성 수준의 점수가 평균보다 높은 여성 내담자 40명 만이 본 연구의 분석대상이 되었다. 실험집단에서는 18시간의 여성주의집단 상담프로그램(Feminist Group Counseling Program : FGCP)이 실시되었다, FGCP는 성역할 분석을 중심으로 자신을 알아가도록 하였는데, 강의와 피험자들의 실습, 그리고 과제물을 내주는 것 등의 단계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FGCP의 목적은 기존의 성 역할로 인해 형성된 자신과 진정한 자신의 모습을 알게 함으로서 여성주의 정체성을 향상시키고 적응적이 되도록하는 것이다. 통제집단으로는 인간관계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과 무처치 집단으로 구성하고 처치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설계는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이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FGCP는 다른 형태의 프로그램 (인간관계훈련)보다 여대생의 여성주의 정체성을 향상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이었다, 둘째, 남성성이나 여성성 점수는 증가가했지만 FGCP가 인간관계훈련 프로그램보다 남성성이나 여성성을 의미있게 변화시키지는 못하였다. 셋째, FGCP는 인간관계훈련 프로그램보다 스트레스나 자아존중감을 의미있게 감소하거나 향상시키지 못하였다. 연구결과와 프로그램의 타당성등의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여성주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여성주의 정체성이 향상시킨 것으로 보아, 이러한 시각에 좀 더 익숙하게 되면 여성이나 남성으로서의 성역할 고정관념으로 인해서 겪게되는 갈등은 감소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따라서 여성주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앞으로 상담자가 내담자를 성별 고정관념 없이 상담함으로써 내담자가 한 인간으로서의 적응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stimate that applicability of FGCP( Feminist Group Counseling Program) affect more effectively the feminist identity development a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588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women's college students and went through Feminist Identity Development Measure, Sex Role Charactistics Measure, Measure of Stress Revel, and Self Esteem Measure,Based on inquiry,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limited to female acceptances who have long performed customary sex roles, 40 students with the higher average marks. In this experimental group, the FGCP of 18 hours, consisted of lecture,client's activities and assignments, and focused on the self awareness through sex role analysis. The aim of this FGCP is to notify clients to be aware of true self in the self which is domesticated by traditional sex role and thus to be closer to identity development. Randomized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to test the treatment effect on the ground of the verification of FGCPs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is thesis run as follows. First, FGCP was more effective than Human Rationship of Training Group (HRTG) in developing feminst identity of women's college students. Second, FGCP did not make more effective altrations than HRTG on masculinity or feminity, and the increase of femine scores showed that female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coping with sex role problems. Third, FGCP more effectively neither decreased the stress, nor increased self esteem than HRTG. As a results, it is assumed that female college student on the traditional view of the female, perceived the feminism to be such a new impact, the stress. Inspite of the limits of the validity of the program, the improvement of feminist identity through FGCP informed that the conflicts from the fixed ideas of sex role can be lessened. In this respect, the FGCP applied in this research may be conceived to contribute towards the adjustment of female clients to the better lives as human be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