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본 연구는 맞벌이 주부(N=138)의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른 결혼만족도를 살펴보고, 성역할정체감, 사회적 지지 및 일상적인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본 것이다. 성역할정체감 유형은 양성성과 미분화형이 같은 분포를 이루었고 남성성과 여성성이 같은 분포를 이루었다. 그리고 양성성과 미분화형의 분포 비율은 남성성과 여성성의 분포비율 보다 더 높았다.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른 결혼만족도를 보면은 여성성과 양성성이 남성성과 미분화형보다 결혼만족도에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여성성과 양성성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맞벌이 주부의 성역할 정체감, 사회적 지지 및 일상적인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를 보면은 성역할정체감이나 일상적인 스트레스보다는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를 더 많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rital satisfaction for working housewives(n=138) and to find how the sex-role identity, social support and daily stress affect on their marital satisfaction. The feminine and androgynous groups are similar numbers, the mascularity and undifferentiated groups are similar numbers in the sex-role identity. The rate of the feminine and androgynous groups are higer than the mascularity and undifferentiated groups. The feminine and androgynous groups reported higer marital satisfaction scores than the mascularity and undifferentiated groups. Between the feminine and androgynous groups does not have significantly differences. This study find out that social support is very important variable for the marital satisfaction among the sex-role identity, social support, and daily str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