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스트레스 관리훈련과 통제소재가 지각된 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ress Management Training and Locus of Control on Perceived Sress and Depression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당면하고 있는 주요 스트레스 요인이 무엇인지 밝혀 보고 이와 관련된 변인들(통제소재, 대처방식, 우울)간의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근거로 스트레스 관리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지각된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스트레스 관리훈련의 훈련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대학생들의 주요 스트레스 요인 가운데 자기 자신 및 대인관계가 가장 비중이 큰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1학년임에도 불구하고 진로와 관련된 스트레스로 고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지각된 스트레스, 통제소재, 정 서 중심적 대 처 그리고 우울이 상호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이 드러났다. 특히, 스트레스와 우울이 높은 상관을 보여 우울이 스트레스로 인한 주요 증상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주요 스트레스 요인, 대처방식, 우울과의 관계에서 정서중심의 대처는 스트레스 요인 모두와 상호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문제중심의 대처에서는 사회환경과 교수와의 관계와 관련된 스트레스 요인에서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학업 및 진로와 관련된 요인에서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주요 스트레스 요인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사회환경과 관련된 스트레스 요인을 제외하고 나머지 스트레스 요인들과 우울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요 스트레스 요인을 기초로 세가지 형태의 스트레스 관리훈련을 실시하고 지각된 스트레스에 대한 훈련의 효과를 알아 본 결과 모두 훈련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우울에 대한 훈련의 효과에 있어서 문제중심의 훈련집단에서만 훈련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문제중심의 훈련이 우울이라는 증상을 다루는데 유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여섯째, 각 훈련집단 모두 훈련의 효과를 보인 지각된 스트레스에 있어서 훈련집단 간의 훈련효과를 비교한 결과 문제중심의 훈련과 혼합형태의 훈련은 효과면에서 차이가 없으며 두 가지 훈련형태 모두 정서중심의 훈련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훈련의 효과와 관련하여 통제소재의 역할에 대한 규명을 시도하였으나 훈련의 유형만이 주효과로 작용할 뿐 통제소재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major stress factors which first year students of Junior college were facing, and the relations of those related variables (locus of control, coping style, and depression). Stress management training effects on perceived sresses and depression were tested after practicing stress management programs based on those analysis. The primary subjects of present study were 318(male 142, female 176) first year students of Junior college in Taegu, Pusan, and Ulsan, and the secondary subjects were 49 first year students of Junior college in Pu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important stressors were self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fore, it should be properly reflected on future stress management training. Second, stress, locus of control, emotion-focused coping, and depression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to each other. Particularly,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offers foundation about dependant variables of stress management training. Third, all stress factor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motion-focused coping. Problem - focused coping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tress factors about social environments and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and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chool work and career factors. All stress factors except the social environment factor had significant relations with depression. It can be said that coping tendencies and degrees of depression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stress factors. Fourth, three types of stress management training had effects on reducing perceived stress. But training effects on depression appeared only in the problem-focused training group. So, it is proved that problem-focused training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and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roblem-focused coping supports this. Fifth, each training group had effects on reducing perceived stress. The problem- focused and mixed training groups had no differences in efficacies, but both groups had differences from the emotion-focused group. It might be because the latter had no effects on specific stress factors(daily stress relating self). Thus, much attention should be concentrated on the organization of a training program to treat specific stress effectively. Sixth, only the training type had a major effect in the training effects, and neither locus of control effect nor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ay until it is verified by practical research, that locus of control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coping efficacies, and has effects on adaptation to stress.

keyword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