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문헌정보학에 있어서 담론분석의 응용

Discourse Analysi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01, v.32 no.2, pp.269-288
장덕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문헌정보학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문헌정보학 연구가 사회과학의 전반적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일례로 다른 사회과학분야의 다양한 방법론적 실험에 대하여, 우리 분야에서는 여전히 실증주의적 연구경향이 지배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이 글은 문헌정보학 연구가 우리사회에서 문헌정보학적 설명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여러 가지 키워들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데 일익을 담당하여야 한다는 점을 밝힌다. 그 한 예로 최근에 우리 분야에서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담론분석의 응용가능성과 유용성을 논증한다. 이를 위하여 우리 분야에 있어서 연구의 성격을 결정지은 역사적 배경을 고찰하고, 담론분석의 간략한 전개양상과 담론분석의 일반적인 원칙들을 살펴본 후, 문헌정보학에 있어서 이러한 관점의 적용가능성을 가늠한다

keywords
연구방법론

Abstract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research, as reflected in its own disciplinary and professional history, has been ignorant of the transitions and developments of othe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disciplines. For instance, the positivistic perspectives in research have been maintained in the field while other disciplines have been experimenting wide variety of research methods and aspects. This paper attempts to articulate that LIS research should play an appropriate role in analyzing and investigating various key-words in modern knowledge society. In this regard it scrutinizes the applicability and implications of discourse analysis. It specifically survey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LIS research; then it explains the dimensions of discourse analysis and some principles; and, finally it shows some examples of research projects that emp1oy these perspectives.

keywords
연구방법론

참고문헌

1.

Bulter,Pierce;Dianne,J.Ellsworth(ed.);Norman,D.Stevens(ed.). Librarianship as a Profession.

2.

Foucault,Michel;Colin,Gordon(ed.). (1980). . Power/Knowlede: Selected Writings and other Interviews 1972-1977, .

3.

Harris,Michael,H.. (1986). The Dialectic of Defeat: Antinomies in Research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brary Trends, 34, 515-530.

4.

Van Dijk;Teun,A.. (1994). Principles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Discourse & Society, 4, 249-283.

5.

김영기. .

6.

조(한)혜정. .

7.

Dreyfus,Hubert,L.;Paul Rainbow. .

8.

이수상. .

9.

Wiegand,Wayne A.. (1999). Tunnel Vision and Blind Spots: What the Past Tells US about the Present: Reflections on the Twentieth-Century History of American Librarianship. The Library Quarterly, 69, 1-32.

10.

Butler,Pierce. .

11.

Jones,Graham. (1976). The Incredible Stream of Garbage: The Library Journals, 1876-1975. The Indexer, 10, 9-14.

12.

김정근;장덕현. (1994).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발전의 현단계에 관한 연구: 부산, 경남지역 공공도서관 사서의 일상적 의식세계에 대한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27, 1-73.

13.

Lynch,Beverly P.. Education and Training of Librarians.

14.

Fairclough,Norman. .

15.

Frohmann,Bernd. (1994). CommunicationTechnologies and the Politics of Postmodern Information Science. Canadian Journal of Informationand Library Science, 19, 1-22.

16.

김정근. .

17.

이소연. (0000). 대학도서관 조직문화에 대한 질적 연구 : 새천년 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4(4), 124-142.

18.

김종성. .

19.

Budd,John,M.;Douglas,Raber. (1996). Discourse Analysis: Method and Application in the Study of Inform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32, 217-226.

20.

Frohmann,Bernd. (1992). The Power of Images: A Disourse Analysis of the Cognitive Viewpoint. Journal of Documentation, 48, 365-386.

21.

Kuhn,Thomas S.. .

22.

Rubin,Richard E.. .

23.

Bender,Thomas;Thomas Bender(ed.);Carl Schorske(ed.). Politics,Intellect, and the American University.1945-1995.

24.

김정근. (1993). 사서직과 언어. 도서관소식, (3), 1-3.

25.

Forhmann,Bernd. Why Cutural Studies Matter to Information Studies.

26.

김정근. 한국의 대학도서관 무엇이 문제인가.

27.

Rayward,W.Boyd;Fritz Machlup(ed.);Una Mansfield(e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 Disciplinary Differentiation, Cpmpetition,Convergence.

28.

김정근;장덕현. (1999). 문헌정보학에 있어서 일상생활 연구의 방법론적 함의: 최근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0, 55-75.

29.

Palmquist,Ruth A.. .

30.

Bourdieu,Pierre. .

31.

Forhmann,Bernd. (1994). Discourse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brary and Information Scicence Research, 16, 119-13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