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식물학의 학문분류와 문헌분류 체계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and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of Botan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08, v.39 no.3, pp.369-386
https://doi.org/10.16981/kliss.39.3.200809.369
김정현 (전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식물학의 학문분류 체계와 문헌분류 체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식물학의 분류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KDC 식물학의 분류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식물학의 학문분류는 주로 식물의 연구대상에 따라 식물 형태학, 식물 생리학, 식물 생태학, 식물 계통학, 식물 유전학, 식물 진화학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둘째, 식물의 분류는 식물 계통학이라는 하위 분과학문에서 다루고 있으며, Engler 체계 등이 일반화되어 있다. 셋째, 식물학의 문헌분류 체계는 대부분 식물학의 분과학문 위주가 아니라 식물의 분류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KDC, NDC, UDC, CC에서는 식물분류를 식물의 발달과정 즉, 진화순서에 의해 하등식물에서 고등식물로 배열되어 있는 Engler 체계를 적용하고 있으며, DDC와 LCC는 현존하는 식물에 더 중점을 두고, 고등식물에서 하등식물로 배열되어 있는 Bentham & Hooker 체계와 유사성이 있다. 넷째, KDC 식물학에서 있어서는 DDC나 CC와 같이 일반 식물학에서 다루고 있는 식물의 구조나 속성 등을 482-489에 나열되어 있는 모든 식물에 공통적으로 적용하여 세분할 수 있도록 구조화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keywords
식물학분류, 식물분류, 학문분류, 문헌분류, 한국십진분류법, Botanical Classification, Plant Taxonomy, Knowledge Classification, Library Classification, KDC, Botanical Classification, Plant Taxonomy, Knowledge Classification, Library Classification, KDC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o compare with knowledge classification and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of botany. First, the knowledge field of botany is mainly classified in morphology, physiology, ecology, taxonomy, genetics, evolution and others by the study object of plants. Second, the division of plants is treated in the field of taxonomy, that is, a lower subdivision study of botany, and Engler's classification is still prevalent in the taxonomy. Third, in library classification, KDC, NDC, UDC and CC adopted the Engler's classification, but DDC and LCC was taken of the Bentham & Hooker's classification. In the Engler's classification, plants are arranged by evolution's order, from lower vegetation to higher vegetation, but Bentham & Hooker's classification is arranged in the reverse order. Forth, it is desirable that every plants(482-489) of KDC' botany are subdivided by the attribute or structure of plants being treated in the general botany as if they are subdivided in the DDC or CC.

keywords
식물학분류, 식물분류, 학문분류, 문헌분류, 한국십진분류법, Botanical Classification, Plant Taxonomy, Knowledge Classification, Library Classification, KDC, Botanical Classification, Plant Taxonomy, Knowledge Classification, Library Classification, KDC

참고문헌

1.

김정현, (2001) 식물학문헌을 위한 자동분류시스템의 개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2.

박정길, (1998) 植物學의 學問分類體系와 文獻分類 展開에 대한 考察, 경성대학교 논문집: 인문사회과학 인문편

3.

설성수, (2000) 지식활동분류의 이론과 실제, 대전 : 한남대학교

4.

李惟性, (2002) 現代植物分類學, 2차개정증보판, 祐成

5.

李昌福 , (2002) 植物分類學,新稿版, 鄕文社

6.

任?彬 , (2000) 一般植物學,四稿版, 鄕文社

7.

정연경, 학문분류, 문헌분류, 연구분류에 관한 비교 분석, 社會科學

8.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9) 硏究論叢, 硏究論叢

9.

韓國圖書館協會, (1996) 韓國十進分類法, 第四版. 2 vols, 韓國圖書館協會

10.

韓國圖書館協會, (1997) 改正第4版 韓國十進分類法解說, 韓國圖書館協會

11.

山田泰嗣, (1989) 新しい分類法の原理を求めて: 生物の分類と圖書の分類の接點, 同志社大學圖書館學年報

12.

日本圖書館協會, (1995) 日本十進分類法, 新訂9版. 2 vols, 日本圖書館協會

13.

中村武久., (1983) 植物分類と分類學: その發展, 經緯の中から, 日本農學圖書館協會會報

14.

川村敬一., (1991) 生物分類學と圖書分類學のかなたへ: 中尾佐助氏の普遍分類學に學んで, 醫學圖書館

15.

Chan, Lois Mai et al., (1996)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 Practical Guide, 2nd ed, New York : Forest Press

16.

Dewey, Melvil., (2003)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22th ed. 4 vols, New York : Forest Press

17.

Judd, W.S. et al., (2005) 식물분류학: 계통학적 접근, 제2판, 신일상사

18.

Marcella, Rita, (1994) A New Manual of Classification, Brookfield : Gower

19.

Ranganathan, S. R., (1989) Colon Classification, 7th ed, Bangalore : Sarada Ranganathan Endowment for Library Science

20.

Supper LCCS, (1995) Gale's 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tion Schedules, Combined with Additions and Changes Through 1995. Class QK, Botany. Detroit : Gale Research,

21.

UDC, (2005) 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 Standard edition. 2 vols, London :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