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성격적 특성과 정보행태의 관계 - 대학 신입생을 사례로 하여 -

Personal Traits and Information Behavior: The Case of College Freshmen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09, v.40 no.2, pp.161-182
https://doi.org/10.16981/kliss.40.2.200906.161
이제환 (부산대학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을 사례로 하여 집단적 관점에서 드러나는 성격적 특성과 정보행태 사이의 관계를 밝혀내는데 있다. 이처럼 ‘성격적 특성’과 ‘정보행태’는 이 연구를 구성하는 핵심 변인이다. 이 연구에서는 성격적 특성 중에서 감성도과 의존도에 주목하고 있으며, 정보행태와 관련하여서는 정보요구, 정보추구, 정보소스, 정보탐색에서 나타나는 행태적 특징에 주목하고 있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P대학교 2009년도 신입생 162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성격과 정보행태에서 나타나는 전반적인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이들 두 변인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서 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성격적 특성과 정보행태 사이에는 부분적이지만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관계가 존재하며, 감성보다 의존성이 정보행태에 보다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연구의 결론에서는 후속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검증과 제언을 포함하고 있다.

keywords
Information Behavior, Information Need, Information Seeking, Search Behavior, Personality, Personal Traits, Affection, Dependency, 정보행태, 정보요구, 정보추구행태, 정보탐색행태, 성격, 성격적 특성, 감성, 의존성, 민족성, Information Behavior, Information Need, Information Seeking, Search Behavior, Personality, Personal Traits, Affection, Dependenc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traits and information behavior theoretically. Personal traits are often represented by “major type of personality found in an ethnic group or society" and measured by both degrees of affection and dependency in this study. In turn, information behavior is used to include unique features in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on source preference, and information searching pattern in library and internet.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with 162 college freshmen, and analyzed for both frequency test and Chi-square test. The major research result shows that dependency rather than affection h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 with information behavior, in particular, information needs and source preference. Also made are several methodological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keywords
Information Behavior, Information Need, Information Seeking, Search Behavior, Personality, Personal Traits, Affection, Dependency, 정보행태, 정보요구, 정보추구행태, 정보탐색행태, 성격, 성격적 특성, 감성, 의존성, 민족성, Information Behavior, Information Need, Information Seeking, Search Behavior, Personality, Personal Traits, Affection, Dependency

참고문헌

1.

이제환, “한국 도서관정보정책의 추이와 과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0권, 제4호(2008), pp.31-32.

2.

고영복, 한국인의 성격 : 그 변혁을 위한 과제(서울 : 사회문화연구소, 2001);

3.

국제한국학회 편, 한국문화와 한국인(서울 : 사계절, 1999);

4.

김영명, 신학국론 : 단일사회 한국, 그 빛과 그림자(고양 : 인간사랑, 2005);

5.

조긍호, 한국인 이해의 개념틀(서울 : 나남, 2003);

6.

최재석, 한국의 사회적 성격(서울 : 현음사, 1994);

7.

최상진, 한국인 심리학(서울 : 중앙대학교출판부, 2000);

8.

최준식,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서울 : 사계절, 1997) 등.

9.

C. Kuhlthau, “A principle of uncertainty for information seeking," Journal of Documentation, Vol.49, No.4 (1993), pp.339-355;

10.

C. Kuhlthau, “Inside the search process : information seeking from the users perspective,” Journal of American Society for Informaiton Science(JASIS), vol.42, No.5(1991), pp.361-371;

11.

D. Nahl, “Measuring the affective information environment of Web searchers,” Proceedings of the 67th Annual Meetings, Vol.41(2004), pp.191-197;

12.

D. Nahl and C. Tenopir, “Affective and cognitive searching behavior of novice end-users in a full text database,” JASIS, Vol. 47, No.4(1996), pp.276-286;

13.

P. Wang, et al, “Users' interaction with World Wide Web resources : an exploratory studying using a holistic approach,"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Vol. 36(2000), pp.229-251.

14.

T. Wilson. “Models in information behavior research," Journal of Documentation, Vol.55, No.3(1999), pp.249- 270;

15.

T. Wilson, “Exploring models of information behavior : the Uncertainty Project," In : T. Wilson and D. Allen, ed., Exploring the contexts of information behavior(London : Taylor Graham, 1999), pp.55-66.

16.

D. Nahl, “Affective Load," In : K. Fisher, et al., ed., Theories of information behavior(Medford, NJ : Information Today, inc., 2005), pp.39-43.

17.

Kyung-Sun Kim, “Effects of emotion control and task on Web searching behavior,"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Vol.44(2008), pp.378-385.

18.

주지하다시피 문제해결(problem solving)과 의사결정(decision making)은 정보추구의 동기이자 정보행태 연구에 있어 핵심 개념이다. Donald Case, Looking for Information, 2nd ed.(New York : Academic press, 2007), pp.85-88.

19.

Heppner의 연구가 문제해결유형에 대해 다루고 있지만 유형의 구분보다는 문제해결 능력이나 태도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반면, Harren의 연구는 일상에서의 의사결정 방식에 근거하여 사람들이 드러내 보이는 상이한 성격유형을 합리형, 직관형, 의존형으로 구분하여 직접 제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연구에서 한국인의 성격적 특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설정하고 있는 ‘감성적 요소’를 성격유형을 나누는 주요한 근거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J. Fischer and K. Corcoran, Measures for Clinical Practice : A Source Book, Vol.2. Adults(New York : The Free Press, 1987), pp.442-443 ;

20.

고려대학교 부설 행동과학연구소 편, 심리척도 핸드북 Ⅱ(서울 : 학지사, 2000), pp.226-22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