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학교도서관에서는 도서관협력수업을 통해서 교과학습과 동시에 정보활용능력을 신장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즉, 수업전문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사서교사 양성 체제는 제도적으로 미흡하고, 커리큘럼 편성에 있어서 사서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기반의 사서교사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컨텐츠를 개발하고, 컨텐츠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터넷 기반의 사서교사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컨텐츠는 강의 전용 저작도구인 LectureMAKER v2.0으로 제작하였으며, 5점 척도의 20개 문항으로 구성된 지필 검사지로 사전․사후 분석을 실시하여 개발한 컨텐츠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레빈의 등분산 검증과 대응표본 t-검정 기법을 적용하였다.
School library concentrates its focus on how information literacy is implemented through the collaborative efforts of classroom teachers and teacher librarian. The role of teacher librarian and the competencies they need in order to succeed have changed over many years. However, current LIS education for teacher librarian has limitations in terms of institution, curriculum. In this research, I designed and implemented an Internet-based educational contents development and evaluation for teacher librarian's competency. This system was development by lecture authoring tool(LectureMAKER v2.0). This study tested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was verified by survey by 51 college students. The test paper consisted of 20 items(5 scale) for measuring teaching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verified effectiveness of the Internet- Based Educational Contents by two dependent samples t-test, Levene test.
National Board for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NBPTS Library Media Standards, 2001. <http://www.nbpts.org/index.cfm?t=downloader.cfm&id=386> [cited 2009. 2. 1].
Senate and House of Representativ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Congress, No Child Left Behind Act(NCLB), P.L 107-110, PartB Subpart1, Section 1208, 2001.
<http://www.ed.gov/policy/elsec/leg/esea02/107-110.pdf> [cited 2009. 2. 1].
Association for Teacher-librarianship in Canada,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Needs: Competencies for Teacher-Librarians in the 21st Century,” Teacher Librarian, Vol.26, No.2(1998), pp.33-25.
이병기,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구성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8권, 제4호(2007), pp.45-65.
이병기, “사서교사의 교사역량 조사와 양성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1호(2008), pp.51-72.
U.S. National Commission on Libraries and Information Science(NCLIS), Why Care About School Libraries? (Washington D.C. : NCLIS, 2005) ;
Research Foundation, School Libraries Work!, 2008. <http://www2.scholastic.com/content/collateral_resources/pdf/s/slw3_2008.pdf> [cited 2009. 2. 1].
이병기,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구성 모형에 관한 연구,” op. cit., p.64.
이병기, “사서교사의 교사역량 조사와 양성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op. cit., p.7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자격종별 사서교사(2급)의 교사 자격기준 개발과 평가 영역 상세화 연구(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pp.116-117.
교원자격검정령시행규칙(교육과학기술부령 제1호, 2008. 3. 4, 타법개정), 제12조제1항 관련.
김성준, 서진원, “우리나라 사서교사 양성현황과 수급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3호(2008), p.6.
김종성,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내용과 교육의 전략적 강조점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7권, 제1호(2006), pp.135-159.
강숙희, 인터넷과 수업(서울 : 교육과학사, 2002), pp.114-117.
방명숙, “인터넷 기반의 언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에듀넷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Vol.2, No.2(1999), pp.136-154.
이병기,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구성 모형에 관한 연구,” op. cit., pp.18-19.
김순택, “수업의 원리,” 이돈희 외, 현대교육의 이해(서울 : 교육과학사, 1983), p.170.
김종근, 정승필, “기술계 교과목의 가상 강의를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 방법,”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제5권, 제4호(2001), pp.5-11.
최용준, 김종근, “인터넷 기반 가상교육을 위한 학습자 중심 강의 컨텐츠의 저작과 전송,”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제6권, 제4호(2002), p.68.
다울소프트, LectureMAKER 개요 기능 구성요소, 2008.<http://www.lecturemaker.co.kr/product/ product_summary.asp> [cited 2009. 1. 20].
이병기,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구성 모형에 관한 연구,” op, cit., pp.4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