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 Librarians' Teaching Practice Program in Korea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1, v.42 no.2, pp.193-213
https://doi.org/10.16981/kliss.42.2.201106.193
김성준 (이리여자고등학교)

초록

교육실습은 사서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주요 교육과정이다. 이 연구는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이 효과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사서교사 전문성 기준을 바탕으로 교육실습의 내용요소를 추출하고, 학교도서관에서 교육실습을 이수한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추출된 32개 실습내용에 대한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실습내용 선정기준으로 사서교사 전문성의 균형 유지, 실무적 역량 강조, 교육실습의 일반과정과 절차의 적합성, 실제 실습 가능성을 설정하고,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13개 실습내용과 28개 요소를 선정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이 연구에서는 실습목표, 지도방법, 교육자료, 지도상의 유의점으로 구성된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교육실습, 사서교사 전문성, School Library, Teacher Librarian, Teaching Practice, Expertise of Teacher Librarian

Abstract

Teacher librarians’ teaching practice is a major training course to strengthen their expert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ore systematic program for effective teaching practice of teacher librarian in Korea. For this, the course contents of teaching practice were derived from the teacher librarians’ expertise standards published by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the survey was carried out to decide which contents are regarded as more important or less. According to four selection criteria and the result of survey, 13 contents were selected. After all, this study proposed teacher librarians’ teaching practice program consisted of practice objective, method of guidance, practice material and attentive point.

keywords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교육실습, 사서교사 전문성, School Library, Teacher Librarian, Teaching Practice, Expertise of Teacher Librarian

참고문헌

1.

1) 백순근, 함은혜, “중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이 ‘교육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제20권, 제4호(2007), p.3.

2.

2) National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Teacher Education, Professional Standards for the Accreditation of Teacher Preparation Institutions, 2008, p.32, <http://www.ncate.org> [cited 2011. 1. 26].

3.

3) 정식영, 유봉호, 백명희, 敎育實習의 理論과 實際(파주 : 한국학술정보, 2004), pp.16-17.

4.

석태종, 교육실습핸드북(서울 : 동문사, 2001), pp.14-15.

5.

4) 권정숙, 교육실습의 이해(서울 : 학이당, 2009), pp.16-17.

6.

5) 한상효, 유평수, 교육실습의 이론과 실제(서울 : 교육과학사, 2003), pp.76-77.

7.

이효녕 등, 참관실습의 이해(대구 : 경북대학교 출판부, 2008), pp.45-48.

8.

서울특별시교육청, 중등교육실습 운영의 실제(서울 : 동교육청, 2006), p.5

9.

6) 김성준, “사서교사 교육실습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2권, 제1호(2011. 3), pp.186-187.

10.

7) 교육과학기술부, 2009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09), pp.62-65.

11.

9)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학년도 개편 중등교사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 자격종별 「사서교사(2급)」의 교사자격 기준 개발과 평가영역 상세화 연구(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pp.27-2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