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범 교육과정으로서의 정보 활용 능력 위상 강화 방안

Alternative Measures for Improvement of Information Literacy as Cross Curricula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1, v.42 no.2, pp.29-50
https://doi.org/10.16981/kliss.42.2.201106.29
송기호 (공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정보 활용 능력의 위상을 분석하고, 범 교육과정으로서의 역할 강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현행 교육과정에서 정보 활용 능력은 교육적 인간상 중 하나인 창의인이 갖추어야 할 기본 능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지식 측면에서는 새로운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적 지식이며, 교육 방법 측면에서는 학제 간 연계성을 갖는 사고 능력이다. 따라서 미디어 교육과 정보 통신 활용 교육을 포괄하는 정보 활용 교육이 선택 과목이 되기 위해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범 교과 학습 주제에 포함되어야 한다. 그리고 정보 활용 능력의 정의가 정보 탐색과 접근, 정보 분석과 해석, 정보 종합과 표현과 같이 구체적인 학습 기술로 명문화되어야 한다.

keywords
정보 활용 능력, 범 교육과정, 정보 활용 교육,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Information Literacy, Cross-Curriculum,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School Library, Teacher Librarian

Abstract

An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atus of information literacy and propose some ways strengthening its role as a cross-curriculum. Analyses show that information literacy is a basic competency of creative person composing the educational human figure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In the school knowledge, its position is a procedural knowledge to create new ideas, also it is a interdisciplinary thinking skill under the instructional method. Therefor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covering media and ICT literacy should exist as a main cross-curriculum to be a selective subject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finally, one of learning skills, its definition should be cleary stated such as information research and access, information analyses and interpretation, information synthesize and presentation.

keywords
정보 활용 능력, 범 교육과정, 정보 활용 교육,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Information Literacy, Cross-Curriculum,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School Library, Teacher Librarian

참고문헌

1.

1)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09), p.v.

2.

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09), p.8.

3.

3) 이상은, 주요국의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범 교육과정(Cross-Curricula)의 성격 고찰(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 2007), p.11.

4.

5)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09).

5.

6)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09)

6.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09)

7.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09).

8.

7) Ralph Catts, Jesus Lau. Towards Information Literacy Indicators(Paris: Unesco, 2009), p.12. <http://www.uis.unesco.org/template/pdf/cscl/InfoLit.pdf> [cited. 2011. 4. 7].

9.

8) Ibid., p.18.

10.

9) Penny Moore, Information Literacy : What's it all about?(Wellington: New Zealand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2002), pp.21-23.

11.

10) 이병기, “학교도서관과 교육과정의 통합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9권, 제2호(2005. 6), pp.87-105.

12.

11) 박명규, 한상완,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교과 교육과정 모형,”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9권, 제1호(2005. 3), pp.167-194.

13.

12) 박순경, “한국 교육과정에서의 범 교과 학습의 실태와 개선 방안,” 교육과정연구, 제24권, 제2호(2006), pp.159-182.

14.

13) 소경희, “학교 지식의 변화요구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설게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제24권, 제3호(2006), pp.39-59.

15.

14) 이병기,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정보 활용 교육과 도서관 활용수업의 제도화,”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8권, 제1호(2007. 3), pp.443-462.

16.

15) 송기호, “사서교사의 허약한 직업적 존재감 실태와 출구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2호(2009. 6), pp.317-337.

17.

16) 박순경, “메타 교육과정으로서의 cross-curricular에 대한 一考,” 교육과정연구, 제16권, 제2호(1998), p.179.

18.

19)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서울 : 교육부, 1997), p.22.

19.

20) 교육인적자원부, 교육과정 총론(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2008), pp.23-24.

20.

21)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09), p.21.

21.

소경희, 이상은, 박정열, “캐나다 퀘벡주 교육과정 개혁 사례 고찰: 역량기반(competency-based)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비교교육연구, 제17권, 제4호(2007), p.113.

22.

24) Chartered Institu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CILIP), Defining information literacy for the UK. <http://www.cilip.org.uk/get-involved/advocacy/learning/information-literacy/Pages/definition.aspx> [cited. 2011. 4. 7].

23.

25) Patricia Senn Breivik, Student Learning in The Information Age(Arizona: The Oryx Press, 1998), p.15.

24.

27) Drake, Susan M., and Rebecca C. Burns, 통합 교육과정, 박영무 등 공역(서울 : 원미사, 2006), p.89.

25.

28) 이돈희, 박순경, 교과학 기초 연구(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1997), p.53.

26.

29)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op. cit., p.22.

27.

30)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op. cit., p.28.

28.

31) 전경원, 박정옥,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서울 : 서원, 1997), p.88.

29.

3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op. cit., p.48.

30.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op. cit., p.57.

31.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op. cit., p.61.

32.

33) 한국도서관협회 학교도서관교육과정위원회,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교육과정 기준(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7), p.13.

33.

34)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op. cit., p.54.

34.

35)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op. cit., p.68.

35.

37) Ralph Catts, Jesus Lau. op. cit., p.28.

36.

38)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op. cit., p.36.

37.

39) 이돈희 등, 지식 기반 사회와 교육(서울 : 교육부, 1999), p.66.

38.

40)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op. cit., p.34.

39.

41)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op. cit., p.33.

40.

42) 한국도서관협회 학교도서관교육과정위원회, op. cit., p.1.

41.

47) 송기호, 통합 정보 활용 교육과정론(서울 : 오롬디엘에스, 2009), p.129.

42.

49) Ibid., p.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