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네이버와 구글의 모바일 통합 검색 컨텐츠 평가

Evaluation of Mobile Unified Search Contents of Naver and Google Korea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1, v.42 no.4, pp.263-280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263
박소연 (덕성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검색 포털들의 전반적인 모바일 통합 검색 현황을 조사하고, 네이버와 구글의 모바일 통합 검색 컨텐츠를 분석, 평가하였다. 즉 이 연구에서는 네이버와 구글을 대상으로 검색 결과에 노출되는 문서 수, 검색 결과 문서들의 컬렉션별 분포, 작성 연도별 분포와 같은 특징을 조사하고, 문서의 적합도, 최신성, 신뢰도 등을 평가하였다. 또한 네이버의 통합웹 베스트와 통합웹, 구글의 베스트 웹문서와 웹문서의 품질을 비교하였으며, 문서의 순위와 문서의 적합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포털의 효과적인 모바일 통합 검색 서비스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Mobile Searching, Unified Search, Search Portals, Mobile Searching, Unified Search, Search Portals, 모바일 검색, 통합 검색, 검색 포털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mobile search services of Korean search portals, and analyze mobile unified search contents of Naver and Google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characteristics of mobile unified search such as number of retrieved documents, collection distribution, and yearly distribution. Also, documents were evaluated in terms of relevance, credibility, and currency. This study compared quality of Naver's unified Web best and unified Web, and Google's best Web documents and Web documents. The correlation between document's ranking and document's relevance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implemented to the portal's effective development of mobile search service.

keywords
Mobile Searching, Unified Search, Search Portals, Mobile Searching, Unified Search, Search Portals, 모바일 검색, 통합 검색, 검색 포털

참고문헌

1.

1) 성호철. 2011. 10. 31. 스마트폰 사용 2000만명 돌파. 조선일보. B1.

2.

2) V. Roto, “Search on mobile phon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57, No.6(2006), pp.834-837.

3.

3) Y. Zhou and M. Lease, “University of Texas mobile library search.”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47, No.1(2010), pp.1-2.

4.

4) C. Carpineto et al., “Mobile information retrieval with search results clustering: Prototypes and evalua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60, No.5(2009), pp.877-895.

5.

5) K. G. August, M. H. Hansen, and E. Shriver, “Mobile web searching,” Bell Labs Technical Journal, Vol.6, No.2(2002), pp.84-98.

6.

6) 김재훈, 김형철, “모바일 기기를 위한 정보검색 시스템,”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제33권, 제4호(2009), pp.569-577.

7.

7) 이경미, “바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음악앨범 정보 검색 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8호(2010), pp.130-137.

8.

8) 김룡, 이광동, 성민선, 김영국, “모바일 시스템에서 메타 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검색 기법,” 한국콘텐츠학회 2007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5권, 제1호(2007), pp.38-42.

9.

9) 한은정, 박안진, 정기철, “모바일 교육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영상 검색 구축,”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9권, 제5호(2006. 5), pp.658-670.

10.

10) 김민정, 이현숙, 장민경, 윤용익, “모바일 환경에서의 도서관 검색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34권, 제1호(C)(2007. 6), pp.98-103.

11.

11) H. Arkin and R. Colton, Tables for Statisticians(New York : Barnes & Noble Inc., 1963).

12.

12) 박소연, 이준호, 김지승, “클릭 로그에 근거한 네이버 검색 질의의 형태 및 주제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9권, 제1호(2005. 6), pp.269-270.

13.

13)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ience Information, 2 Vols(Washington, D. C. :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59).

14.

14) D. J. Hillman, “The Notion of Relevance(1),” American Documentation, Vol.15, No.1(1964), pp.26-34.

15.

15) T. Saracevic, “Relevance: A review of and a framework for the thinking on the notion in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Vol.26, No.6(1975), pp.321-343.

16.

16) P. Borlund, “The concept of relevance in IR,”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54, No.10(2003), pp.913-925.

17.

17) 맹성현 등, “정보 검색 시스템 평가를 위한 균형 테스트 컬렉션 구축,” 정보관리학회지, 제16권, 제2호(1999. 6), pp.135-148.

18.

18) G. Kim, “Relationship between index term specificity and relevance judgment,”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Vol.42, No.5(2006), pp.1218-1229.

19.

20) 노정순, “Invisible Web 탐색도구의 성능 비교 및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제21권, 제3호(2004. 9), pp.203-225.

20.

21) 김홍렬, “적합성 평가기준 변화에 관한 실험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1권, 제4호(2000. 12), pp.139-164.

21.

22) 박소연, 이준호, 전지운, “지식 검색 서비스 개선을 위한 문서의 적합도 및 신뢰도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0권, 제2호(2006. 6), pp.299-314.

22.

23) 박소연, 이준호, “주요 검색 포탈들의 통합 검색 서비스 비교 평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1호(2008. 3), pp.265-278.

23.

27) 박소연, “검색 포털의 클릭 집중 문서 분석 평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2권, 제1호(2011. 3), pp.325-33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