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nowledge Structure of Multicultural Research Pap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1, v.42 no.4, pp.353-374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353



Abstract

Analyzing research paper published from 2005 to 2010, this study aims for analysing the research paradigm on multi-culture and understand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ulticultural knowledge via scientometric. Co-word network constructed by keywords in documents and their co-occurrence relationships is a kind of mapping knowledge structure. A total of 4,521 and 1,373 papers published between 2005 and 2010 were retrieved from the KRF Registered Journals and Proposed Journals. This paper employs k-core analysis method in the field of mapping knowledge structure to analyze keyword co-occurrence network of multicultural research in Korea. And Netminer 3 is employed to visualize the networks in this paper.

keywords
다문화연구, 지식구조, 네트워크분석, 동시단어분석, k-core 분석, Multicultural Research, Knowledge Structure, Network, Co-Word Analysis, K-Core Analysis, Multicultural Research, Knowledge Structure, Network, Co-Word Analysis, K-Core Analysis

Reference

1.

1) 부천다문화센터 블로그, <http://cafe.naver.com/multiculturefamily/8485> [인용 2011. 11. 24].

2.

2) 윤인진, 유태범, 양대영, “국제이주, 소수자, 재외한인, 다문화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사회학회 2009 국제사회학대회 논문집(2009. 12), pp.237-248.

3.

3) 전영준, “한국의 다문화연구 현황," 다문화콘텐츠연구(2009), pp.109-130.

4.

박경하, “한국의 다문화 연구 현황과 과제," 중앙사론, 제33집(2011. 6), pp.87-124.

5.

4) 전재영, “다문화교육 연구의 메타 분석적 접근,” 초등도덕교육, 제35권(2011), pp.29-54.

6.

김민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경향과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0권, 제1호(2010), pp.61-86.

7.

천희영 등, “국내 유아교육 분야 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 교육 관련 연구의 경향 분석,” 아동교육, 제17권, 제3호(2008), pp.29-39.

8.

곽윤숙, “유아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교육 관련연구 분석 : 「유아교육연구」(2000년-2010년)를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제3권, 제2호(2010), pp.141-161.

9.

서현아, 김정주, “유아 다문화 관련 연구의 경향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제65집(2010), pp.59-78.

10.

김상림, 안효진, 이시자, “유아 다문화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제11권, 제2호(2011), pp.147-171.

11.

5) 이수경 등, “한국 간호학 연구주제의 사회연결망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41권, 제5호(2011), p.624.

12.

Qin He, “Knowledge Discovery Through Co-Word Analysis," Library Trends, Vol.48, No.1(summer 1999), p.134.

13.

6) 서은경, 한인구, “경영정보학분야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경영정보학연구, 제7권, 제3호(1997), pp.145-165.

14.

Limei Zhao and Qingpu Zhang, “Mapping knowledge domains of Chinese digital library research output, 1994-2010," Scientometrics, Vol.89(2011), p.54.

15.

8) Whittaker, “Creativity and conformity in science : title, keyword and Co-word analysis," Social Studies of Science, Vol.19(1989), pp.473-469.

16.

9) 김혜리, 박용태, “Co-word 분석법을 이용한 기업수준의 기술지도 : 작성방법과 활용전략,”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4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2004), p.11.

17.

10) 이준영 등, “문헌계량분석기법을 이용한 효율적 벤치마킹 대상 분석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2006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2006), p.106.

18.

11) 서종남, “한국사회의 다문화 관련 용어에 관한 연구,” 교육문화연구, 제16권, 제2호(2010), pp.145-168.

19.

12) 김미현 등, “Co-word분석법을 통한 디지털금융 연구의 프레임워크 도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1권, 제1호(2011), p.86.

20.

14) 손동원, 사회네트워크 분석(서울 : 경문사, 2002), p.172.

21.

17) 손동원, 전게서, p.174.

22.

19) 장임숙, “이주민소수자 정책의 정향과 정체성-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여성에 관한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제23권, 제1호(2011), p.148.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