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행위이론을 적용한 도서관 이용자 컨텍스트정보의 CAbAT 모델링

The CAbAT Modeling of Library User Context Information Applying Activity Theor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2, v.43 no.1, pp.221-239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221
이정수 (중앙대학교)
남영준 (중앙대학교)

초록

도서관 이용자의 복잡한 환경과 이용패턴에 따라 생성된 정보는 지식구조화를 통해 이용자에게 적합한 상황인지 정보서비스에 활용된다. 따라서, 도서관 이용자의 다양한 컨텍스트를 정의하고 상호 관련된 컨텍스트의 지식 구조화를 위한 컨텍스트 모델 구축이 필수적인 요건이다. 본 연구에서는 컨텍스트의 개념 및 컨텍스트 모델링을 고찰하고, Engestrom의 행위이론의 개념을 활용하여 도서관 이용자의 행위 모델을 1) 주체, 2) 목적, 3) 도구, 4) 노동단위, 5) 커뮤니티, 그리고 6) 규칙으로 설계하였다. 또한, 도서관 이용자의 컨텍스트를 분석하기 위하여 행위정보를 수집하여 그들의 행태를 관찰 및 기록하는 사용자 추적법(Shadow Tracking)을 활용하였고, 수집된 행위정보는 CAbAT(Context Analysis based on Activity Theory)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도서관 이용자의 컨텍스트를 설계하였다.

keywords
User activity, Context, Context model, Activity theory, CAbAT, Engestrom, 이용자 행위, 컨텍스트, 컨텍스트 모델, 행위이론, 행위 기반 컨텍스트 모델링

Abstract

The information that has been created according to the complex environment and usage pattern of library user can provide context-aware information service through knowledge structuralization on whether it is a suitable situation for user.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a context model for defining the various contexts of library user and for the structuralization of interrelated context information is an essential requirement.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xt concept and context modeling, and utilizing the concept of Activity Theory by Engestrom, the activity model of library user was designed as 1) subject, 2) object, 3) tools, 4) divison of labor, 5) community, and 6) rules.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context of library user, activity information was tracked to utilize the Shadow Tracking for observing and recording their forms, and the methodology of CAbAT (Context Analysis based on Activity Theory) was utilized for the collected activity information to analyze the user context model.

keywords
User activity, Context, Context model, Activity theory, CAbAT, Engestrom, 이용자 행위, 컨텍스트, 컨텍스트 모델, 행위이론, 행위 기반 컨텍스트 모델링

참고문헌

1.

A. K. Dey, D. Salber, and G. D. Abowd, “A conceptual framework and a toolkit for supporting the rapid prototyping of context-aware applications," Human-Computer Interaction, Vol.16, No.2-4(2001), pp.100-104.

2.

Donald O. Case, Looking for Information: a Survey of Research on Information Seeking, Needs, and Behavior(San Diego : Academic Press, 2002), pp.123-140.

3.

임소연, 정지홍, “컨텍스트 분류를 위한 여행자 행위 수집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가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5), p.116.

4.

이승근,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 상황 인식 서비스 미들웨어(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pp.7-38.

5.

장세이, 우운택,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컨텍스트 인식 및 컨텍스트 인식 응용 서비스 제작 기술," 한국정보기술학회지, 제1권, 제1호(2003), pp.59-64.

6.

B. Schilit, N. Adams, and R, Want, “Context-Aware Computing Applications," 1st International Workshop on Mobile Computing Systems and Applications(1994), pp.85-90.

7.

A, K. Dey, and G. D. Abowd, “Towards a Better Understanding of Context and Context-Awareness," Proceedings of the CHI2000 Workshop on the What, Who, Where, When, and How of Context-Awareness(2000), pp.304-307.

8.

S. Jang., and W. Woo, “Ubi-UCAM: A Unified Context-Aware Application Model," Modeling and Using Context (2003), pp.178-189.

9.

김은회,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상황인지를 지원하기 위한 시멘틱 컨텍스트 모델(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컴퓨터학과, 2006), pp.27-43.

10.

송재구, 김석수, “유비쿼터스 컴퓨팅 정보관리를 위한 컨텍스트 기반의 데이터 모델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3호(2006), pp.56-58.

11.

김한준, 최종규, 지용구, “행위이론에 기초한 맥락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춘계 학술대회(2009), pp.250-255.

12.

J. Lantolf. “Sociocultural theory and L2: State of the art,"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on, Vol. 28, No. 1(2006), pp.67-109.

13.

Y. Engestrom and R. Miettinen, Perspectives on Activity Theory. Activity Theory and Individual and Social Transformation(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pp.19-39.

14.

임소연, 정지홍. “컨텍스트 분류를 위한 여행자 행위 수집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가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5), pp.116-117.

15.

V. Kaptelinin and B. Nardi, Acting with Technology: Activity Theory and Interaction Design(MA : MIT Press, 2006), pp.15-28.

16.

L. Bannon and V. Kaptelinin, “From human–computer interaction to computer-mediated activity, User Interfaces for All: Concepts, Methods, and Tools," Lawrence Erlbaum, Mahwah, NJ (2000), pp.183–202.

17.

Y. Engeström and Miettinen, “Introduction’ in Perspectives on Activity theory,"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pp. 23-53.

18.

Y. Engeström, Learning by Expanding: an Activity-theoretical Approach to Developmental Research(Helsinki : Orienta-Konsultit, 1987), pp.143-234.

19.

J. M. Carroll, HCI Models, Theories and Frameworks: Toward a Multidisciplinary Science(CA, San Francisco: Morgan Kaufmann Publishers, 2003), pp.11-26.

20.

B. Nardi, “Concepts of cognition and consciousness: Four voices," Australi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4(1996), pp.64-69.

21.

김한준, 최종규, 지용구, “행위이론에 기초한 맥락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춘계 학술대회(2009), pp.250-254.

22.

D. M. Fetterman. Ethnography: Step-by-Step(California : Sage Publications, Inc, 2010), pp.5-1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