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어린이도서관의 이용자편익과 이용자특성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Mutual Relation Between the User Benefit and the User's Characteristics in the Children's Librar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2, v.43 no.1, pp.261-285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261
강미희 (전남대학교)
홍현진 (전남대학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편익기준의 이론적 타당성을 확인하고, 이용자편익기준과 어린이발달영역과의 상호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이용자편익기준이 어린이도서관의 이용자편익기준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이 연구는 전국 어린이도서관 이용자 24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발달-행동의 용이성, 정서발달-생리적 유지성, 인지발달-지각적 유지성, 사회성발달-사회적 용이성의 대응관계는 적합하였다. 둘째, 편의성, 안전성, 다양성은 행동의 용이성, 자존감, 쾌적성, 편안함은 생리적 유지성, 심미감, 역동성, 융통성은 지각적 유지성, 휴식성, 소통성, 영역성은 사회적 용이성의 측정지표로 타당하였다. 셋째, 신체발달을 선호할수록 행동의 용이성을, 정서발달을 선호할수록 생리적 유지성을, 인지발달을 선호할수록 지각적 유지성을, 사회성발달을 선호할수록 사회적 용이성을 선호하였다.

keywords
어린이도서관, 이용자편익, 이용자편익기준, 이용자발달특성., Children's library, User benefit, User benefit criteria, User's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the user benefit criteria can be applied as the user benefit criteria of children's libraries by examining the theoretical validity of the user benefit criteria and furthermore, by clarifying and verifying the mutual relation between the user benefit criteria and the child development area. For such a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247 users of children's libraries in the country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development and behavioral facilitation, emotional development and physiological maintenance, cognitive development and perceptual maintenance,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and social facilitation was appropriate. Second, usability, safety and diversity was valid as an index of behavioral facilitation, self-esteem, amenity and peacefulness was valid as an index of physiological maintenance, esthetic sense, dynamics and flexibility was valid as an index of perceptual maintenance, and leisure, communication and territoriality was valid as an index of social facilitation. Third, children who prefer physical development prefer the benefit of behavioral facilitation, children who prefer emotional development prefer the benefit of physiological maintenance, children who prefer cognitive development prefer the benefit of perceptual maintenance and children who prefer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prefer the benefit of social facilitation.

keywords
어린이도서관, 이용자편익, 이용자편익기준, 이용자발달특성., Children's library, User benefit, User benefit criteria, User's development characteristics.

참고문헌

1.

김태윤, 김상봉, 비용.편익분석의 이론과 실제(서울 : 박영사, 2008), pp.89-95.

2.

임승빈, 환경심리와 인간행태(서울 : 도서출판 보문당, 2007), pp.11-15.

3.

김동건, 비용.편익분석(서울 : 박영사, 2008), p.28.

4.

김홍배, 정책평가기법-비용.편익분석론(서울 : 나남, 2003), p.196.

5.

D. Michael Murtha, Dimensions of User Benefit: An Overview fo User-Oriented Environmental Design Criteria (Washington, D.C. :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1976), pp.2-5.

6.

이연숙, 황연숙, 장윤정, “아동실 환경특성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0권, 제6호(2004. 6), p.106.

7.

홍현진, 강미희, “Spatial Conditions of a Children's Library Supporting Children's Development: With Priority Given to User Benefit Criteria,” 정보관리학회지, 제27권, 제2호(2010. 6), pp.173-199.

8.

황연숙, 이연숙, “아동실의 물리적 환경이 아동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14권, 제2호(2003. 4), p.55.

9.

정기용, 기적의 도서관(서울 : 현실문화연구, 2010), p.55.

10.

조복희, 아동발달(파주 : 교육과학사, 2009), p.10.

11.

John W. Santrock, 아동발달심리학, 곽금주 외 역(서울 : 박학사, 2007), pp.20-21.

12.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서울 : 학지사, 2009), p.18.

13.

Laura E. Berk, 아동발달, 이종숙 외 역(서울 : 시그마프레스, 2009), pp.4-5.

14.

조성연 등, 아동발달(서울 : 신정, 2010), p.24.

15.

문희, 김매희, 유정은, 아동발달론(고양시 : 공동체, 2011), p.19.

16.

임미숙, “주거유형에 따른 아동의 주공간 사용방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8권, 제12호(1992. 12), p.17.

17.

문화체육관광부, 어린이 극장 및 도서관 특별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운영최종결과보고서(서울 : 문화체육관광부, 2008), p.181.

18.

김종성, 어린이서비스론(대구 : 태일사, 2011), p.14.

19.

M. J. Kostelnik 외, 유아를 위한 사회정서지도, 박경자 외 역(서울 : 교문사, 2005), p.257.

20.

김미경, 문장원, 서은정, 정서 및 행동장애아 교육(서울 : 학지사, 2007), p.3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