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코리안 디아스포라 정보자원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Diaspora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2, v.43 no.4, pp.403-425
https://doi.org/10.16981/kliss.43.4.201212.403
장우권 (전남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문헌정보와 아카이브적 측면에서 도서관의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정보자원관리에 대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디아스포라와 정보자원 관련 문헌적 고찰과 재외한인들의 이동루트와 정착 그리고 삶의 현장을 기반으로 한 실제적 조사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코리안 디아스포라는 자발적 이동보다는 정치와 경제적 측면에서 타인에 의한 이주가 주를 이루었다. 이들은 이주 현장에서 온갖 어려움을 극복하고 다양한 문헌정보를 생산했으며 이것을 기반으로 도서관, 신문사, 출판사, 기록보존소 등지에서 정보자원관리와 아카이브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정보자원에 대한 가치와 역량을 나타내고 진일보한 디아스포라 연구와 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keywords
코리안 디아스포라, 정보자원관리, 문헌정보, 아카이브, 코리안 디아스포라 정보자원관리, Korean diaspora,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document information, archive, Korean diaspora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present a development plan on the Korean diaspora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in a viewpoint document information and archives. This study consists of two aspects : a document investigation based on Korean diaspora and information resource and in a practical examine based on a spot of life, settlement, and movement of overseas. A lot of Korea Diaspora have immigrated to Japan, China and Russia mostly with other people in the political and economic dominant cause. They are produced a various of document information and was formed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and archives in a library, a newspaper office and a publishing compan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looked forward to help to R&D of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in values and competencies for Korean diaspora.

keywords
코리안 디아스포라, 정보자원관리, 문헌정보, 아카이브, 코리안 디아스포라 정보자원관리, Korean diaspora,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document information, archive, Korean diaspora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참고문헌

1.

김영기 외. 문화시대의 디지털 아카이브. 전남대 출판부, 2005.

2.

김정현, 장우권, 김홍길. “러시아에서의 고려인이 생산한 한글정보자원에 관한 연구: 1900-1937,”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7권, 제3호(2006), pp.357-379.

3.

김필영.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사. 강남대학교 출판부, 2004.

4.

러시아극동의 한인들: 19세기 후반 20세기 초, 문서와 자료, 블라디보스톡, 2001.

5.

김현동, 주인영. 재중동포사회 기초자료집 I: 중국 조선족 개황. 재외동포재단, 1999.

6.

리옥금, 김덕모 편. 중국조선문잡지목록색인 1954-1990. 중국 목단강 : 흑룡강출판사, 2002.

7.

문헌정보학용어사전. 한국도서관협회, 2010.

8.

사공복희, 장우권. “재중 조선족 정보자원 생산과 콘텐츠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논총, 제9권, 제1호(2004. 3), p.179.

9.

외교통상부. 재외동포정책 및 현황(2011). <http://www.mofat.go.kr/main/index.jsp>

10.

이광규. 러시아 연해주의 한인사회. 서울 : 집문당, 1998.

11.

이명규 외. 재외한인 문헌정보자원과 실제. 서울 : 집문당, 2005.

12.

이명규, 장우권. “중국 조선족 한글정보자원 생산과 출판물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제35권, 제4호(2004), pp.401-422.

13.

이미림.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 나타난 예술·사랑·국가.” 세계한국어문학, 제4집(2010), pp.97-127.

14.

임채완 외. 재외한인 정보자원 생성과 발전. 서울 : 북코리아, 2008.

15.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한국사회학, 제37집, 제4호(2003), pp.101-142.

16.

장우권. “디지털정보자원관리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30집(2012. 11), pp.7-27.

17.

장우권, 사공복희. “중앙아시아에서의 한글정보자원관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7권, 제2호(2006), pp.291-315.

18.

장우권 외. 재외한인의 문헌정보자원 정책과 관리. 서울 : 북코리아, 2006.

19.

전형권, 이소영. “사할린 한인의 디아스포라 경험과 이주루트 연구,” OUGHYOPIA: 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 Vol.27, No.1(Spring 2012), pp.135-184.

20.

정성호. “코리안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 네트워크로.” 한국인구학, 제37권, 제3호(2008), pp.107-130.

21.

최정태. 기록학개론. 서울 : 아세아문화사, 2001.

22.

한국기록관리학회 편. 기록관리론: 증거와 기억의 과학. 서울 : 아세아문화사, 2010.

23.

한국기록학회 편. 기록학용어사전. 서울: 역사비평사, 2008.

24.

한국전산원. 국가지식정보자원 디지털화 로드맵 수립(2001. 11).

25.

황유복 편. 중국속의 한글학교. 미·중 한인우호협회, 2002.

26.

Bergsten, C. Fred, 최인범 외.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세계경제(The Korean Diaspora in the World Economy). 서울 : 국제경제연구소, 2003.

27.

ISO, International Standard As 15489.1: 2001, 3.15, 7.2,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Records Management.

28.

Safran, William. “Diasporas in Modern Societies: Myths of Homeland and Return." Diasporas, Vol.1, No.1(1991), pp.83-99.

29.

Ф, Бугай Н. К вопросу о депор тации нородов в 30-40-х годах //История СССР, No. 6,1989, С. 135; Правда, 24 ноября.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