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한 법적분쟁을 전문적이고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법조인을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출범한 법학전문대학원에 대한 서면평가 및 현장평가가 2012년 9월부터 10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평가의 기초자료로 제공된 평가기준, 평가매뉴얼, 질의응답집과 평가수행과정에서 실제 나타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평가항목 중 법학교육의 전문성을 위해 가장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법학전문도서관에 대한 평가조항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평가조항의 경우 일률적인 양적 기준을 제시하는 것보다 대학원별 규모를 감안하고 추상적인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향후 법학전문도서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특성화를 비롯한 발전방안의 구상 및 실천, 그리고 대학원 구성원의 참여를 통한 운영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또한, 도서관에 대한 평가를 별도의 장으로 구성하고 도서관 시설에 대한 부분은 대학원의 기타 시설들과 함께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학원별 규모를 감안한 모범사례 발굴을 통해 각 대학원에 표준으로 제시해 줄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evaluation of the law schools, which had been launched for the purpose of training the lawyers to settle the legal disputes professionally and effectively, had been done on paper and on site from September through October 2012. Based on not only the basic materials for the evaluation such as evaluation standard, manual, and questionnaire but also the problems revealed during the evaluation, this study intended to show the problems of the evaluation clauses of the law school library which is the basis for the professionalism and diversity of law education and suggest the remedies for them. This study shows that the evaluation clauses need to be made considering the scale of each law school rather than suggesting the same quantitative standard in every law school and to be more specific rather than abstract. Especially, to manage the law school library efficiently from now on, it is necessary to plan and practice the idea of developing such as the specialization and to prepare the idea of operating the law school library through the law school members. Additionally, it is desirable that the chapter of the library exists separately and the library facilities are evaluated together with the other school facilities. Lastly, it is necessary to suggest the appropriate model as the norm to each school according to the school scale.
김원만, 이지연. “법학전문도서관 평가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27권, 제1호(2010), pp.165-183.
교육인적자원부.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인가 신청공고, 교육인적자원부 보도자료(2007.10.30), pp.1-10.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14964&efYd=20120722#0000> [인용 2012. 10. 30].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 시행령,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11972&efYd=20110405#0000> [인용 2012. 10. 30].
법학전문대학원평가위윈회. 법학전문대학원 질의응답집. 서울 : 대한변협 법학전문대학원 평가위원회, 2012.
법학전문대학원평가위윈회. 법학전문대학원 평가기준. 서울 : 대한변협 법학전문대학원평가위원회, 2011.
법학전문대학원평가위윈회. 법학전문대학원 평가매뉴얼. 서울 : 대한변협 법학전문대학원평가위원회. 2011.
신인섭.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안」 정책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제26집(2007. 5), pp.487-512.
신인섭. 우리나라 교육정책 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 법학전문대학원 도입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2007.
홍명자. “법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도서관의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7권, 제2호(2006), pp.345-373.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3.
American Bar Association(ABA), 2012-2013 ABA Standards and Rules of Procedure for Approval of Law Schools, <http://www.americanbar.org/content/dam/aba/publications/misc/legal_education/Standards/chapter_6_2012_2013_aba_standards_and_rules.authcheckdam.pdf> [cited 2012. 11. 2].
Bade, Edward. S. “Quo Vadimus?,” Journal of Legal Education, Vol.2(1949), pp.41-52.
Pulling, Arthur C., “The Harvard Law School Library.” Law Library Journal, Vol.43, No.1(1950), pp.1-11.
Duke University School of Law Library Service, <http://law.duke.edu/lib/facultyservices#lectures> [cited 2012. 1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