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삼국이 통일을 이룬 7세기까지 중국에서 수입한 서적과 내국인이 편찬하여 유통된 서적을 대상으로 그 전모를 조사하여 주요한 특징을 밝힌 글이다. 삼국은 5세기부터 중국으로부터 서적을 수입하여 고대국가의 정착을 위해 법령의 제정, 교육제도의 도입, 학문의 진흥, 국제 외교, 국사의 편찬 등에 반영하였다. 그리고 4세기 후반 한반도에 전래한 불교는 초기에는 단순히 불경을 전수하는데 불과하였으나, 대장경이 도입된 7세기 이후에는 새로운 종파를 형성할 수준으로 교학이 발전하여 우리 자체의 장소문헌의 찬술이 본격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처럼 삼국이 통일된 7세기까지 서적의 유통 현상을 분석한 결과, 전래 서적은 주로 유교와 불교 문헌에 집중된 현상을 보이고, 내국인에 의한 자체적으로 편찬한 서적은 삼국의 역사서와 불교의 장소문헌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 외에도 기초학습에 필요한 소학서와 과학 분야의 전문서적이 수입되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당시 삼국에서 유통된 서적의 경우 대부분 6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수입되었기 때문에 대부분 필사본 형태로 보급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삼국에서 5세기 이전에 편찬되었던 「留記」와 「書記」등 역사서적은 죽간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This study objected books having been imported from China until the 7th century when unification was made among the three kingdoms together with distributed books by Korean nationals after compiling them, and clarified main characteristics by investing their whole pictures. The three kingdoms had imported books from China from the 5th century, and made them reflect to the enactment of laws and regulations, introduction of educational system, promotion of learning, international diplomacy, and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etc for settling down the ancient nation. And Buddhism having been transmitted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ate 4th century was nothing more than simple handing- down Buddhist scriptures in early stage, but teaching and learning developed into levels of forming new sects after the 7th century when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utras was introduced, so the study paid attention to a fact that full-scale compilation of our collection literature was appearing.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henomena of book distributions till the 7th century when the three kingdoms were unified in this way, transmitted books showed concentrating aspects to confusion and Buddhist literature mainly, and books having been compiled by Korean nationals themselves appeared high in history books of the three kingdoms and collection literatures of Buddhism, and also a fact was grasped such like Sohak books required for basic learning and professional ones on science fields were imported from other countries. Most books having been distributed in the three kingdoms at that time were imported from the 6th century really, so majority of them seemed to be supplied with manuscript forms. However, this study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using bamboo scriptures on history books such as Liugi(留記) and Seogi(書記) etc that had been compiled before the 5th century at the three kingdoms.
三國史記
史記
宋書
南齊書
梁書
魏書
周書
南史
北史
舊唐書
日本書紀
高光儀. “高句麗 古墳壁畵에 나타난 書寫 관련 내용 검토.” 한국고대사연구, 제34집(2004. 6). pp.225-266.
김병준. “낙랑군의 한자 사용과 변용.” 고대 동아시아의 문자교류와 소통,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2011. pp.39-84.
南豊鉉. “古代韓國에 있어서 漢籍·佛典의 傳來와 受容에 대하여.” 書誌學報, 제31호(2007). pp.5-35.
朴載福. “향교설립 이전의 유가경전 수용과 교육현황.” 東洋古典硏究, 제42집(2011), pp.7-35.
朴成熙. “古代 三國의 史書 편찬에 대한 재검토.” 震檀學報, 제88집(1999). pp.25-41.
富谷至 原著. 목간과 죽간으로 본 중국 고대 문화사. 임병덕 옮김. 서울 : 사계절. 2005. pp.1-282.
宋基豪. “고대의 문자생활.” 강좌 한국고대사, 제5권, 서울 :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2. pp.1-60.
여호규. “고구려의 한자문화 수용과 변용.” 고대 동아시아의 문자교류와 소통,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2011. pp.87-123.
吳富尹. “敎育典籍을 통해 본 新羅 學校敎育의 특징.” 제주한라대학논문집, 제26집(2002), pp.159-171.
李健茂. “茶戶里遺蹟 出土 붓에 대하여.” 考古學誌, 제4집(1992). pp.5-29.
李成珪. “韓國 古代國家의 形成과 漢字 受容.” 한국고대사연구, 제32집(2003. 12), pp.55-93.
李成珪. “諸子의 學과 思想의 理解.” 講座中國史 1, 서울 : 지식산업사, 1982. pp.157-204.
李成市, 尹龍九, 金慶浩. “平壤 貞柏洞364號墳 출토 竹簡 論語에 대하여.” 木簡과 文字 4, 韓國木簡學會, 2009. pp.127-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