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디지털 정보활용교육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 and the Improvement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3, v.44 no.2, pp.241-265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241
배경재 (동덕여자대학교)
박희진 (한성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디지털시대에 적합한 정보활용능력 교육을 기획하여 실시하는 것은 현대 도서관의 핵심기능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 및 국내의 유관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정보활용능력 교육현황을 분석하고 이와 동시에 대국민 서비스의 지역 거점인 공공도서관의 의견을 조사하여 향후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특히 공공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향후 정보활용교육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시설 및 예산 등 필요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국립중앙도서관과 같은 국가도서관과의 연계 협력이 절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조사결과를 토대로 국립중앙도서관 교육프로그램의 개선방안과 함께 공공도서관과의 연계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Digital literacy education, Digital literacy, National digital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디지털 정보활용교육, 디지털 리터러시, 국립중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 Korean public libraries and suggest improvements. The education programs were analyzed, which are offered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related social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order to explore the digital literacy education program required for public libraries.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38 librarians of the regional central libraries. Respondents reported that a cooperative program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with national library is essential, due to the lack of the budget and digital literacy resources. Based on the analysis, a model of the National Digital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the cooperative program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were proposed.

keywords
Digital literacy education, Digital literacy, National digital library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디지털 정보활용교육, 디지털 리터러시, 국립중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참고문헌

1.

고영만. “대학생을 위한 정보문해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 21권, 제4호 (2004), pp.67-88.

2.

권성호, 김성미. “소셜 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재개념화.” 미디어와 교육, 제 1권, 제1호 (2011), pp.65-82.

3.

김성은, 이명희.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교수학습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7권, 제2호(2006), pp.177-200.

4.

김성은, 이명희. “대학생을 위한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8권, 제3호(2007), pp.91-115.

5.

김태경. “한국문헌정보학 교육에서 정보이용자교육 교과과정 모형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1권, 제2호(2007), pp.387-412.

6.

배경재. “대학생의 과제 중심 정보문제 해결과정 분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29권, 제3호(2012), pp.215-234.

7.

이제환. “한국 도서관계의 이용자교육.”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2권, 제1호(2011), pp.3-27.

8.

이현실. “델파이 조사를 이용한 정보활용능력 교육 항목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8권, 제1호(2004), pp.303-322;

9.

장덕현, 최고운.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9권, 제1호(2008), pp.37-60.

10.

정영미. “정보활용 교육이 도서관과 정보활용능력 자가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4호(2009), pp.65-280.

1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1세기 지식 정보 역량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리터리시 지수 개발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006.

12.

ALA. Digital Literacy, Libraries, and Public Policy. Report of the Offi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Policy's Digital Literacy Task Force(2013). http://www.districtdispatch.org/wp-content/uploads/2013/01/2012_OITP_digilitreport_1_22_13.pdf

13.

Buschman, J. “Information literacy, ‘new’ literacies, and literacy." Library Quarterly, Vol.79, No.1(2009), pp.95-118. <http://www.districtdispatch.org/wp-content/uploads/2013/01/2012_OITP_digilitreport_1_22_13.pdf>. [cited 2013. 5. 20].

14.

Fitzgerald, M. A. “Evaluating information: An information literacy challenge.” School Library Media Research, Vol.2, July(1999), <http://www.ala.org/aasl/aaslpubsandjournals/slmrb/slmrcontents/volume21999/vol2fitzgerald> [cited 2013. 5. 20].

15.

Hjørland, B. “Information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Prisma.com, Vol.7. (2008), pp.4-15.

16.

IFLA. Guidelines on Information Literacy for Lifelong Learning(2006), <http://www.ifla.org/publications/guidelines-on-information-literacy-for-lifelonglearning>[cited 2013. 5. 20].

17.

Kãrklins, J. “Toward Digital Literacy: What Libraries Can Do?” 77th IFLA General Conference and Assembly Keynote Speech(2011), <http://www.ifla.org/events/beyond-the-united-nations-decade-of-literacy-whatlibraries-can-do>. [cited 2013. 5. 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