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조선후기 영남 문집 목판본 간행의 확산 양상에 관한 연구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책판을 중심으로 -

Spread of Publication of the Literary Collectionby Wood-block printing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 Centered on wooden blocks for printing housed in KSAC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3, v.44 no.3, pp.447-470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447
손계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초록

이 논문은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목판본 문집 간행의 문화적 양상이 시기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조선 초기 조정에서는 명현의 글을 보존하기 위해 문집 간행의 필요성이 계속적으로 부각되었으며, 국가에서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문집 간행을 주도하였다. 16세기부터 18세기 초반에는 감사ㆍ수령이 중앙에서 지방으로 파견되어 그들의 주도에 의해 지방관아에서 문집이 집중적으로 간행되었다. 17세기를 거쳐 18세기 초중반에는 부세 제도 변화로 지방관아의 재정이 제한되어 문집 간행 사업이 현격하게 줄어든 반면, 숙종대에 서원의 수가 폭증하자 지방관 중심의 문집 간행이 18~19세기에는 서원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19세기 후반에는 이전 시기의 형태들이 여전히 존재하였던 반면, 서원의 제도권에 속하지 못하거나 서원의 지지를 얻지 못하였던 사족들의 문집 간행이 19세기 말부터 폭발적으로 이루어져 양반층 전반의 문화로 확산되어 갔다.

keywords
Blocks for printing, Books of wood-block printing, Literary collection, Local governor, Seowon (private academy), Publication, 책판, 목판본, 문집, 지방관, 서원, 출판, 간행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ultural aspects of the publication of literary collections have been changed from its time throughout the entire Joseon Dynasty. At the royal cour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need for publication of the literary collections has consistently arisen to preserve writings of the noted sages, and the Joseon government was also taking the lead and promoting the publication of the literary collections. From the 16th to the early 18th century, the publication was intensively made at the local governments led by local governors. From the 17th to the early to middle of the 18th century, the finances of local governments were limited with the changed taxation system, and there had been a dramatic decrease in the number of literary publication projects. On the other hand, with the sudden increase of the number of Seowons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the focus of the literary publication was moved to Seowon from the 18th to the 19th century.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Seowon Abolition Decree, the collections were still published at Seowons, however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the publication of literary collections had been explosively made by aristocrats who did not belong to the institution of Seowon or could not receive Seowon's support, which spreaded over the entire Yangban culture.

keywords
Blocks for printing, Books of wood-block printing, Literary collection, Local governor, Seowon (private academy), Publication, 책판, 목판본, 문집, 지방관, 서원, 출판, 간행

참고문헌

1.

朝鮮王朝實錄

2.

承政院日記

3.

姜碩期. 月塘集. 韓國文集叢刊 86. 서울 : 민족문화추진회, 1992.

4.

姜希孟. 私淑齋集. 韓國文集叢刊 12. 서울 : 민족문화추진회, 1988.

5.

卞季良. 春亭集. 韓國文集叢刊 8. 서울 : 민족문화추진회, 1990.

6.

成石璘. 獨谷集. 韓國文集叢刊 6. 서울 : 민족문화추진회, 1990.

7.

鄭文孚. 農圃集. 韓國文集叢刊 71. 서울 : 민족문화추진회, 1991.

8.

洪翰周. 智水拈筆. 栖碧外史海外蒐迭本 13. 서울 : 아세아문화사, 1984.

9.

손병규. 조선왕조 재정시스템의 재발견 -17~19세기 지방재정사연구. 서울 : 역사비평사, 2008.

10.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목판 목록집Ⅰ. 안동 : 한국국학진흥원, 2006.

11.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목판 목록집Ⅱ. 안동 : 한국국학진흥원, 2007.

12.

한국국학진흥원.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목판 목록집Ⅲ. 안동 : 한국국학진흥원, 2008.

13.

권기중. “조선후기 부세의 운영과 감사의 역할.” 역사와 현실, 제81호(2011), pp.187-212.

14.

김종석. “한국 목판의 특징과 한중일 비교.” 동아시아의 목판인쇄, 안동 : 한국국학진흥원, 2008. pp.641-691.

15.

김태웅. “조선후기 감영 재정체계의 성립과 변화.” 역사교육, 제89집(2004), pp.163-193.

16.

배현숙. “조선조 서당의 서적 간행과 수장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제35집(2006), pp.5-40.

17.

손계영. “어느 책이 진짜인가?.” 고문서로 읽는 영남의 미시세계, 대구 : 경북대학교출판부, 2009. pp.166-169.

18.

손계영. “지방관과 선조 문집 간행.” 영남학, 제15호(2009), pp.229-269.

19.

송양섭. “조선시대의 서원분포에 관한 일고찰.” 춘천교육대학논문집, 제28집(1988), pp.249-265.

20.

신승운. “성종조의 문사양성과 문집편간.”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28권 제1호(1995), pp.301-390.

21.

신승운. “유교사회의 출판문화.” 대동문화연구, 제39권(2001), pp.365-394.

22.

신승운, 서정문.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문집류 책판의 성격과 가치.” 대동문화연구, 제70권(2010), pp.7-43.

23.

이수환. “경주지역 孫李是非의 전말.” 민족문화논총, 제42권(2009), pp.303-329.

24.

임노직. “서원 판각 책판의 현황과 내용.”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목판 목록집(Ⅱ), 안동 : 한국국학진흥원, 2006. pp.277-289.

25.

정연식. “균역법 시행 이후의 지방재정의 변화.” 진단학보, 제67호(1989), pp.31-4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