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그림책과 이야기 구조도식을 활용한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초등학교 1학년생들에게 실시함으로써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에서 1학년생 28명이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11주 동안 총 20권의 그림책을 읽고 이야기 구조도식을 활용하여 책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프로그램 시행 전후에 참여 아동의 문해능력과 도서 대출 빈도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참여 아동의 어머니들과 프로그램 진행자들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의 읽기이해력과 쓰기 유창성 및 글의 형식, 조직, 표현, 내용, 주제 면에서의 쓰기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 이전에 비해 이들이 학교도서관에서 책을 대출하는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아동의 어머니들은 아동의 읽기능력과 읽기태도가 향상되고 아동 도서와 도서관에 대한 어머니 자신의 관심이 증가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프로그램을 진행한 대학생 멘토들은 이 프로그램이 자신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an school library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nd graphic organizers on first grade children's literacy abilities and book lending, and to evaluate the program with mothers' and mentors' responses. Twenty eight first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in Kyu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Their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were tested, and their book lending behavior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whole program. The participants explored 20 picture books by reading aloud and expressed their responses on the graphic organizers over 11 week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fter the whole session was complete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significantly improved in reading comprehension and writing assessed in terms of fluency, format, organization, expression, contents, and themes. Second, they lent books more frequently from the library than before. Third, participants' mothers showed great satisfaction for the program in that it enhanced child's reading ability, reading attitude, and mother's interest in children's books and library, and mentors also reported very positive impact of this program to themselves.
강옥려, 이창선. “그래픽 조직자 활용이 국어학습부진아의 어휘력과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제22권, 제1호(2011), pp.201-225.
강옥려, 홍성두. “그래픽 조직자 활용이 국어학습부진학생의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ANCOVA를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제8권, 제2호(2011), pp.65-86.
구연정 등. “학령 초기 글쓰기 능력과 유창성과의 관계.” 학습장애연구, 제5권, 제1호(2008), pp.43-59.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1세기 어린이청소년도서관 서비스 : 개관 1주년 기념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국제심포지엄 자료집. 서울 :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07.
권은경.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0권, 제1호 (2009), pp.451-469.
김동일.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 : 읽기검사 검사요강. 서울 : 학지사, 2000.
김동일.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 : 읽기검사. 서울 : 학지사, 2008.
김동일.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 : 쓰기검사. 서울 : 학지사, 2011.
김동일, 이대식, 신종호. 학습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서울 : 학지사, 2009.
김영한. “사전 읽기 이야기 구도화 전략이 초등부 뇌성마비아의 읽기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난청과 언어장애, 제25권, 제1호(2002), pp.73-86.
김종성. “자기주도적 탐구학습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교육청의 ‘책쓰기’ 교육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2호(2010), pp.81-106.
노승림. 이야기 도식을 통한 읽기 훈련이 ADHD아동의 읽기 이해 및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정서 및 자폐성장애아교육전공, 2007.
노지현, 윤유라.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독서 멘토링 활동의 경험과 교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3권, 제3호(2012), pp.239-263.
박경희. 이야기 지도 그리기 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다시 이야기하기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청각․언어장애전공, 2001.
박수자. 글처리 능력 향상을 위한 글의 구조 지도에 관한 실험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과, 1990.
박윤금. “부산지역 초등학교의 개방시설 현황분석을 통한 개방시설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교육시설, 제16권, 제1호(2009), pp.59-68.
변우열. 독서교육의 이해. 고양 : 조은글터, 2009.
송기호 등.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활성화 모델 개발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연구보고서. 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2011.
송기호. “학생의 자아 탄력성 신장을 위한 사서교사와 학부모의 협력 관계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3권, 제2호(2012), pp.69-86.
신지연, 김유승.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에 관한 연구 : 서울 강남구 초등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3권, 제1호(2012), pp.277-297.
양현숙. “전래동화를 통한 활동중심 독서지도가 아동의 읽기태도 및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3권, 제6호(2005), pp.1-27.
이경란. “공공도서관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이 독서량과 도서관 이용 빈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4권, 제2호(2013), pp.97-114.
이병기. 정보활용교육론. 경기 : 조은글터, 2006.
이병기.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을 위한 독서전략 범주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3호(2008), pp.139-159.
이서현. 이야기 지도 그리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이야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언어치료학과, 2011.
이성현. “또래지도 전략 독해학습장애아의 독해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발달장애연구, 제3권, 제1호(1999), pp.147-166
이승혜.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이야기 문법 교수가 초등학교 5학년 읽기학습 장애학생의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특수교육학과, 2008.
이연옥, 노영주. “독서프로그램이 소외계층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와 의미 :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3권, 제1호(2012), pp.73-98.
이은숙. 텍스트 구조 지도가 독해에 미치는 효과 : 설명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과 초등국어교육전공, 1997.
이재승. 아이들과 함께하는 독서와 글쓰기 교육. 서울 : 박이정, 2004.
정미라. 어린이도서관에서의 영유아 경험에 대한 질적 탐구. 박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2010.
정복희. 동화책 읽어주기 접근법이 유아의 문해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2008.
천경록. 도해 조직자 지도가 독해에 미치는 효과. 국어교육, 제89권(1995), pp.199-224.
채종옥. 동화책 읽어주기 접근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 1995.
최나야. “그림책을 활용한 표현활동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제19권, 제2호(2012), pp.283-301.
한국어문교육연구소, 국어과교수학습연구소 편. 독서교육사전. 서울 : 교학사, 2006.
한수연, 조현양. “독서와 도서관 관련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도서관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3권, 제4호(2012), pp.347-368.
현은자, 김세희. 그림책의 이해 1. 파주 : 사계절, 2005.
현은자, 김세희. 그림책의 이해 2. 파주 : 사계절, 2007.
황리리. 이야기 도식화 전략 교수가 초등학교 고학년 읽기장애 학생의 읽기 이해력 및 듣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2003.
황리리, 박현숙. “이야기 도식화 전략 교수가 초등 고학년 읽기 장애 학생의 읽기 및 듣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언어청각장애연구, 제9권, 제2호(2004), pp.156-170.
Cullinan, B. E. and Galda, L. Literature and the Child. Forth Worth, TX : Harcourt Brace & Company, 2002.
Dahl, K. and Freppon, P. “A Comparison of Inner City Children's Interpretation of Reading and Writing Instruction in the Early Grades in Skill-Based and Whole Language Classroom.” Reading Research Quarterly, Vol.31(1995), pp.50-75.
Gardill, M. C. and Jitendra, A. K. “Advanced Story Map Instruction : Effects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Vol.33(1999), pp.2-17.
Gurney, D. et al. “Story Grammar : Effective Literature Instruction for High School Student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Vol.23, No.6(1990), pp.335-342.
Idol L. and Croll, V. J. “Story-Mapping Training as a Means of Improving Reading Comprehension.” Learning Disability Quarterly, Vol.20(1987), pp.214-229.
Idol, L. “Group Story Mapping : A Comprehension Strategy for Both Skilled and Unskilled Reader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Vol.20, No.40(1987), pp.196-205.
IFLA. Guidelines for Children's Libraries Services. IFLA, Libraries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Section, Hague : IFLA, 2003.
Irwin, J. W. 독서지도론(2nd). 천경록, 이경화 역. 서울 : 박이정, 2003.
Kari, A. H. The Effects of Reading Aloud in Motivating and Enhancing Student's Desire to Read Independent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an University, Union, New Jersey, 1999.
Morrow, L. M. “Reading and Retelling Stories : Strategies for Emergent Readers.” The Reading Teacher, Vol.38(1988b), pp.870-875.
Morrow, L. M. “Young Children's Response to One-to-One Story Readings in School Setting.” Reading Quarterly, Vol.23(1988a), pp.89-100.
Taylor, L. K. Alber, S. R. and Walker, D. W. “The Comparative Effects of a Modified Self-Questioning Strategy and Story Mapping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Behavioral Education, Vol.11(2002), pp.6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