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대학생층과 비교를 통한 고령층의 모바일기반 정보행위 분석

An Analysis on the Mobile-based Information Behavior of the Older Adults with Comparison of the College Student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4, v.45 no.1, pp.249-270
https://doi.org/10.16981/kliss.45.1.201403.249
김희섭 (경북대학교)
이미숙 (경북대학교)
강보라 (경북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층의 모바일기반의 정보행위를 정보활동이 가장 왕성한 계층중의 하나인 대학생과 비교분석을 통하여 파악하고 동시에 이들의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기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자체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대구․경북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고령층과 이 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경우를 제외한 고령층 375명과 대학생 323명의 데이터를 카이제곱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두 집단 모두 경제 상태에 따른 모바일기기 보유여부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이들 두 집단이 모바일기반의 정보행위를 하는 첫 번째 이유는 여가를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령층은 모바일기기의 활용교육 확대를 통하여, 대학생층은 무상 혹은 저가 모바일기기의 보급을 통하여 정보활용 애로사항을 해소할 수 있다고 밝혔다. 더불어 다양한 연구결과를 표와 그림과 함께 제시하였다.

keywords
모바일기반, 정보활동, 고령층, 대학생, 정보격차해소, 차이분석, Mobile-based, Mobile device, Information behaviors, Older adults, College students, Bridging digital divide, Group difference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mobile-based information behaviors of the older adults with comparison of the college students and then to provide some fundamental ideas of the bridging digital devide for them. For this aims, data were collected from seniors and college students living in Daegu and Kyung-buk province via a self-designed questionnaire, and the data of 375 seniors and 323 college students were analysed with x2 and t-test using SPSS. It revealed that the economic condition did not influence in the possession of mobile devices, and for leisure was most favorite activity in both groups. However, the college student group suggested the supply of free or low price mobile device; whereas the older adults group suggested the spread of education of mobile device usage would be the most important matter for bridging the digital devide. Various result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with tables and figures in this paper.

keywords
모바일기반, 정보활동, 고령층, 대학생, 정보격차해소, 차이분석, Mobile-based, Mobile device, Information behaviors, Older adults, College students, Bridging digital divide, Group differences

참고문헌

1.

강신원.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과 이슈." 전자통신동향분석, 제16권, 제1호(2001), pp.36-46.

2.

국민연금용어사전. <http://www.nps.or.kr/jsppage/info/easy/easy_01_01.jsp> [인용2013. 11. 25].

3.

권문주, 최연숙, 김태웅. “정보격차해소차원에서의전자정부서비스이용촉진연구: 장노년층사례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9권, 제2호(2010), pp.73-92.

4.

김명언, 김의철, 박영신. “청소년과 성인 간의 세대 차이와 유사성."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6권, 제1호(2000), pp.181-204.

5.

김은정, 이재웅, 양희인. “우리나라 정보격차실태와 정책적 함의 : 2007년도 정보격차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1권, 제3호(2008), pp.75-101.

6.

김은정. “정보격차해소를위한세대통합형지원정책에관한탐색적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1권, 제2호(2007), pp.195-219.

7.

김정기. “청소년과 성인집단의 휴대전화 이용 특성 비교."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3호(2005), pp.262-290.

8.

명승환, 이복자. “고령자의 정보활용행태에 관한 연구 : 정보화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3권, 제2호(2010), pp.23-47.

9.

미래창조과학부. 정보격차해소지원사업. 경기도: 미래창조과학부, 2013.

10.

박영미. “정보복지를 위한 정보격차해소정책에 대한 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14권, 제2호 (2004), pp.119-142.

11.

박해광. 정보격차의 새로운 경향. 경제와 사회, 제59권(2003), pp.78-102.

12.

이복자 등. “세대간 정보활용의 행태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서울․경기․인천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4권, 제3호(2011), pp55-85.

13.

이승민. “미국사회에서스마트기기가정보격차에미치는영향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3권, 제2호(2012), pp.1-24.

14.

인터넷통계정보검색시스템. <http://isis.kisa.or.kr/sub02/#> [인용 2013. 11. 25].

15.

서이종. “고령층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보복지 정책방향, 유비쿼터스 시대 정보복지 정책 방향: 노인정보접근권 향상을 중심으로.” 국회의원 안명옥의원실 주최 세미나 자료(2007), pp.41-63.

16.

정진식. “이용자의 정보추구행동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17권, 제3호(2000), pp.193-212.

17.

조주은. “고령층의모바일격차: 휴대전화의확산, 그러나제한된채택." 한국사회학, 제44권, 제5호 (2010) pp.81-113.

18.

통계청.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조사 : 일반국민 대비 취약계층 정보접근 수준. 서울 : 통계청, 2013.

19.

통계DB.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인용 2013. 11. 25].

20.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최종보고서. 서울 :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21.

한국인터넷진흥원. 정보화로 인한 세대 간 갈등연구. 서울 : 한국정보화진흥원, 2006.

22.

한국인터넷진흥원. 2008 국가 정보화 백서. 서울 : 한국정보화진흥원, 2008.

23.

Chinn, M. D. and Fairlie, R. W. “The Determinants of the Global Digital Divide : a Cross-country Analysis of Computer and Internet Penetration." Oxford Economic Papers, Vol.59, No.1(2007), pp.16-44.

24.

van Dijk, J. The Network Society: Social Aspects of New Media, 2nd Edition. London: Sage, 2006.

25.

van Dijk, J. and Hacker, K. “The Digital Divide as a Complex and Dynamic Phenomenon." The Information Society, Vol.19, No.4(2003), pp.315-326.

26.

Hargittai, E. 2002. “Second-level Digital Divide: Differences in People’ Online Skills.”First Monday, 7(4). <http://www.firstmonday.org/issues/issue7_4/hargittai> [cited 2013. 11. 15].

27.

Molnár, S. “The Explanation Frame of the Digital Divide.” Proceedings of the IFIP Summer School, Risks and Challenges of the Network Society, (2003), pp.4-8.

28.

NTIA(National Telecommunications &Information Administration) Home page. <http://www.ntia.doc.gov/> [cited 2013. 11. 23].

29.

Ryu, M., Kim, S and Lee, E. “Understanding the Factors Affecting Online Elderly User's Participation in Video UCC Services." Journal of Computer in Human Behavior, Vol.25, No.3(2009), pp.619-632.

30.

Schiller, H. Information Inequality : the Deeping Social Crisis in America. New York : Routledge. 1996.

31.

Sonnenwalda, D. H. and Pierceb, L. G. “Information Behavior in Dynamic Group Work Contexts : Interwoven Situational Awareness, Dense Social Networks and Contested Collaboration in Command and Control."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Vol.36. No.3(2000), pp.461-47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