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예비사서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였으며, 그 효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멘티의 최종목표는 초기목표와 비교해서 목표와 진로가 매우 구체적으로 바뀌고 목표의 유형도 매우 세분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취업률의 경우 멘토링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의 취업률과 비교하였으며, 멘토링에 참여한 4학년 학생의 83.33%가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멘티의 멘토링 전 학기 성적과 멘토링 참여한 학기의 성적을 비교하였으며, 멘티들의 멘토링 전 성적은 평균 3.75였으나 멘토링 후 평균성적은 3.84로 소폭이지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멘토링 기간이나 멘토링 감독 강화부분에서 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operated a mentoring program for future librarians and analyzed its effectiveness. As a result, first, the final goals of mentees were much more focused and specific in comparison with their initial goals, and the types of objectives they set for themselves became more in depth and subdivided. Second, the employment performance of the mentoring program was measured by comparing with the employment rate of students who had not participated in mentoring programs, and found that the employment rate of students scheduled to graduate who participated in the mentoring program was 83.33%, which is very high. Third, we compared the mentoring semester grades with the grades before mentoring; students’ average score was 3.75 before mentoring, while after mentoring their average score improved slightly to 3.84.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improvement is necessary in terms of mentoring period length and amount of supervision.
김순규, 이재경. “빈곤청소년의심리, 사회적적응을위한멘토링프로그램의효과성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4권, 제5호(2007. 10), pp.75-98.
노영희, 안인자, 오세훈. “사서직고용현황및인력개발에대한현장사서요구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지, 제30권, 제4호(2013. 12), pp.61-91.
박경민.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사례연구.” 사회복지실천, 제7권(2008), pp.159-183.
박현선. 빈곤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1998.
방진희. “저소득한부모가정청소년의심리, 사회적응향상을위한멘토링프로그램효과성연구.” 사회복지실천, 제4권(2004), pp.113-142.
양민화등.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과정에서의멘토·멘티·교사의요구와 지원방안분석.” 특수교육, 제10권, 제2호(2011. 6), pp.83-114.
오미선, 권일남. “멘토의 공감능력이멘토링관계와멘티의자아존중감에 미치는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7호(2012. 7), pp.119-136.
유성경, 이소래. 비행예방을 위한 청소년멘토링프로그램. 서울 : 한국청소년상담원, 1999.
이길영, 황명식. “대학생멘토링이중학생영어학습에미치는영향.” 영어교육, 제59권, 제2호(2004. Summer), pp.237-268.
이철찬. “대학도서관사서의멘토링에관한 연구: p대학교 도서관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9권, 제2호(2008. 12), pp.187-198.
조혜진. “보육시설에서 초임교사를멘토링하는 경력교사의어려움과 효과적인멘토링을위한 중요요소.” 아동교육연구, 제29권, 제5호(2009. 10), pp.21-43.
전광석. “위기청소년을대상으로한멘토의역량강화방안에관한연구.” 청소년문화포럼, 제23권 (2010. 2), pp.206-236.
전미진. 학교부적응학생의적응력향상을위한멘토링프로그램효과성에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2002.
최경일. “한부모 가정의 청소년과 교사 간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제10권, 제1호(2008), pp.47-67.
최선희등. “저소득 아동․청소년대상멘토링의과정 및성과에 대한질적 연구: 멘티, 멘토, 멘티 부모, 실무자면접결과를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2권, 제3호(2010b. 9), pp.79-118.
최이원. 중학생 멘토링 경험이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청소년지도학과, 2003.
황성철.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서울 : 공동체, 2007.
Yin, Robbrt K. 사례연구방법. 신경식, 서아경 역. 서울 : 한경사. 2005.
Frecknall, Peter and Alan Luks. “An evaluation of parental assessment of the Big Brothers/Big Sisters Program in New York City.”Adolescence, Vol.27, No.107(Sep. 1992), pp.715-719.
Cannister, Mark. W. “Mentoring and spiritual well-being of late adolescence,” Adolescence, Vol.34(1999), p.769–780.
Dennis, Gregory. Mentoring, 1993. <http://www.ed.gov/pubs/OR/ConsumerGuides/mentor.html> [cited 2013. 9. 8].
Jekielek, Susa, Kristin A. Moore and Elizabeth C. Hair. Mentoring programs and youth development : A Synthesis. Washington D.C. : Edna McConnell Clark Foundation, 2002.
Murray, Margo and Marna A. Owen. Beyond the Myths and Magic of Mentoring: how to facilitate an effective mentoring program. San Francisco : Jossey-Bass,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