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urriculum Design based on Digital Environment for the Private Certificates of Reading Instructi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4, v.45 no.3, pp.213-247
https://doi.org/10.16981/kliss.45.3.201409.213
차성종 (숭의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로 인해 독서의 전반적인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디지털 환경 기반에서 효과적인 독서지도를 수행할 수 있는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교육과정을 새롭게 마련하고자 추진되었다. 이를 위해 디지털 환경으로 변화된 독서 패러다임에 대한 고찰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국내․외 주요 교육과정 사례에 대한 심층적 검토와 분석을 통해 특장점을 모색한 후, 독서지도 분야 전문가들에 대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의견수렴과 검증 작업을 거쳐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교육과정은 디지털 환경으로 변화된 독서지도의 주요 기능 및 목적을 달성하고 이를 독서지도 현장에서 제대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6가지의 교육영역, 21가지의 교과목, 82가지의 교과내용으로 각각 구성되어 설정되었다.

keywords
독서지도, 독서교육, 독서지도 전문가, 교육과정, 디지털 환경, Reading instruction, Reading education, Reading specialist, Curriculum, Digital environment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urriculum for the private certificates of reading instruction newly which can perform a reading instruction effectively in digital environment as the digital technology has changed the overall paradigm of reading. The curriculum for the private certificates of reading instruction was designed and proposed finally through deriving the implications over an study of the changes about reading paradigm in digital environment, searching the features and benefits over an in-depth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urriculum practices for training reading specialist, collecting the opinions and verification work over a Delphi survey of experts in the field of reading instruction. The finally developed curriculum consists of 6 kinds of training area, 21 kinds of subject and 82 kinds of training course content respectively to achieve the main function and purpose of the changed reading instruction in digital environment and in order to train reading specialist capable of applying properly them in reading instruction field.

keywords
독서지도, 독서교육, 독서지도 전문가, 교육과정, 디지털 환경, Reading instruction, Reading education, Reading specialist, Curriculum, Digital environments

참고문헌

1.

고수진. 2007. 우리나라독서교육제도의현황과발전방향에관한연구: 독서지도전문인력양성과정의 현황과 개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출판잡지전공.

2.

김미량. 2000. 정보화 사회의 독서매체 확장을 위한 일고. 독서연구, 5: 65-81.

3.

백혜림. 2013. 사서직의 독서전문가로서의 전문성 신장과 독서자격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경기도교육청 소속 사서를 중심으로. 한국독서교육학회지, 1(1): 21-50.

4.

변우열. 2008. 독서교육 지도자의 자질과 양성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3): 187-212.

5.

손정표. 2010. 신독서지도 방법론. 대구: 태일사.

6.

양재한, 김수경, 김석임. 2013. 어린이독서지도론. 대구: 태일사.

7.

이만수. 2009. 독서교육 관련 민간자격 교육과정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181-202.

8.

이명희. 2007. 독서교육교과목의내용구성에관한연구: 문헌정보학과에서제공되는독서교육과목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8(1): 23-44.

9.

이삼형, 박희찬, 정옥년. 2001. 독서교육 전문가 역할과 양성. 독서연구, 6: 163-189.

10.

이정희. 2003. 독서지도사 양성과정 운영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11.

이종성. 2001. 델파이 방법론. 서울: 교육과학사.

12.

최병모, 김정호, 이준혁. 2005. 학교경제교육방향탐색을위한델파이조사연구. 『경제교육연구, 12(1): 53-83.

13.

최병우. 2000. 다매체 시대의 독서. 독서연구, 5: 25-44.

14.

최병우. 2006. 전자매체 시대의 독자. 독서연구, 16: 55-75.

15.

최영임. 2014. 웹 기반 독서전략 모형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2): 41-57.

16.

Benjamin, Walter. 2005. 발터벤야민의 문예이론. 반성완 옮김. 서울: 민음사.

17.

IRA. 2010. Standards for Reading Professionals: Revised 2010. <http://www.reading. org/ general/CurrentResearch/Standards/ProfessionalStandards2010.aspx> [cited 2014. 7. 17].

18.

Dalkey, N. C. 1981. The Delphi method: An experiment study of group option. SC: The Land Corporation.

19.

Delbeoq, A. L., A. H. Van and D. H. Gustafson. 1995. Group techniques for program planning: A guide to nominal group and Delpic process. IL: Scott, Foresman Company.

20.

한국독서학회 ‘독서교육전문가 과정’ 홈페이지 <http://www.reading.re.kr/html/sub02_01.asp> [인용 2014. 7. 17].

2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민간자격 정보서비스’ 홈페이지 <http://www.pqi.or.kr/indexMain.do> [인용 2014. 7. 16].

22.

한국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 ‘자격검정’ 홈페이지 <https://www.kauce.or.kr/home/kor/exam/Qualification/Manage/manage_sub01_01.aspx> [인용 2014. 7. 17].

23.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 ‘한우리캠퍼스’ 홈페이지 <http://www.hanuricampus.com/index.han> [인용 2014. 7. 17].

24.

ALSC Home Page. <http://www.ala.org/alsc/edcareeers/profdevelopment/alscweb/courses/ readinginst> [cited 2014. 7. 17].

25.

University of Pittsburgh. School of Education Home Page. <http://www.education.pitt.edu/ AcademicDepartments/InstructionLearning/Programs/ReadingEducation/ReadingSpec ialistCertificate.aspx> [cited 2014. 7. 18].

26.

University of Virginia. Curry School of Education Home Page. <http://curry.virginia.edu/ academics/degrees/non-degree/reading-specialist-certificate> [cited 2014. 7. 1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