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pth the personal experience of Pre-Service Librarian Teacher during Student Teaching Practice. This helps us understand the overall process and diverse environment of Student Teaching Practice. We conducted in depth interview with participants who had recently experienced. and data analysis was undertaken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devised by Giorgi. The significance of Pre-service Teacher Librarian experiences during Student Teaching Practice can be summarized in five categories as follows: ‘the formation of Pre-service Librarian teacher's awareness about library and librarian through growth process’, ‘concretization and Strategy Implementation about Career Planning’, ‘Self-growth Need through experience of student teaching practice’,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Culture Perception of Communication’, ‘Face reality about library and librarian’. These constituents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ime sequ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for improving the overall environment at Student Teaching Practice.
강창숙. 2007. 교생들이 관찰 경험한 중학교 지리 수업.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2): 201-219.
교육통계서비스 <http://kess.kedi.re.kr/index> [인용 2014. 5. 20].
김경배. 1996. 교육실습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김병찬. 2003. 사범대생들의사범대학진학동기와적응과정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 57-83.
김병찬. 2005. 예비교사들은교육실습을통해무엇을경험하는가. 교육행정학연구, 23(4): 49-76.
김성준. 2011. 사서교사교육실습의영향요인에관한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183-203.
김성준. 2011.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193-213.
김수정. 2011. 자립초기지적장애자녀를둔어머니의양육경험. 청소년복지연구, 13(4): 149-174.
김정태. 1988. 한국 중등학교 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정현, 강명숙, 왕석순. 2009. 예비 중등교사의 교육실습이 교사로서의 자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1(4): 55-70.
김종성. 2006. 사서교사양성을위한문헌정보학교과목의내용과교육의전략적강조점에관한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135-159.
김필성, 강현석. 2014. 중등학교예비교사의실습경험에대한내용분석: A대학교중등학교예비교사들의 실습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0(1): 51-78.
나경은. 2012. 예비특수교사들의교육실습경험에관한근거이론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실천, 13(3): 269-289.
나승일 외 2012.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실습 가이드. 파주: 교육과학사.
박은숙. 1999. 중등학교가정과교육실습실태및교육실습만족도에영향을미치는요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2(3): 129-143.
박인옥. 2007. 중등․사회과예비교사들의교육실습에관한인식조사. 조사시민연구, 39(3):185-212.
백순근, 함은혜, 이재열, 신효정, 유예림. 중등학교 교사의 교수역량 구성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아시아교육연구, 8(1): 47-69.
심정신, 최미정. 2013. 간호대학예비보건교사들의학교현장실습경험에대한질적사례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7(4):pp. 107-114.
엄미리, 엄준용. 2010. 교육실습제도 개선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인적자원관리연구, 17(1): 127-149.
이남인. 2005.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철학과 현상학 연구, 24: 91-121.
이명훈. 2012. 기술과교육실습의실태분석과개선방안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2): 49-74.
이병기. 2008.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조사와 양성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51-72.
이은주, 이해영. 2009. 예비영양교사의 학교에서의 영양교육 경험 및 방향 설정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4(4): 440-450.
정재은. 2012. 예비음악교사 양성기관의 교육실습체제 비교연구. 음악교육공학, 14: 19-40.
정진수. 2014. 국내사서교사교수활동의수준에관한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1): 153-171.
정한호. 2008. 비사범계교직이수과정이수생들의교육실습경험에대한생태학적고찰. 한국교육, 35(4): 25-58.
한재영. 2012. 사범대학 예비교사의 삶과 정체성 변화연구. 교사교육연구, 51(1): 75-89.
함명식. 2008.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과 사서교사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169-188.
Colaizzi, Paul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In Valle, Ronald S. & King, Mark (Eds.) Existential-phenomenologist Alternatives for Psychology. (pp.112-137). New York: Oxford University.
Giorgi, Amedeo, 1983. “Concerning the Possibility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14(1): 129-169.
Lincoln, Yvonna S and Guba, Egon G. 1985. “The Impact of illness on later life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1: 65-172.
Patton, Michael Quinn.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s, inc, Van Manen, Max.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