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looks at the reading related qualifications that examine the issues into the curriculum of reading-related qualifications specifically. The results of analysis, 278 reading related qualifications are both operated by the private non-accredited. And reading related qualifications system was required the effort and systematic enhancement of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education information. On t he b asis o f the surv ey, It is proposed operational plans for the quality of reading-related qualifications by cooperation of the private and government that are utilized as a reference in the promotion policy.
고수진. 1998. 우리나라 독서교육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독서지도 전문인력양성과정의 현황과 개선을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中央大學校 新聞放送大學院.
교육부. 2013. 소비자 피해 방지를 위해 민간자격제도 개선 추진: 자격기본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입법예고.
김덕기 외. 2013. 민간자격제도 질 관리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변우열. 2008. 독서교육 지도자의 자질과 양성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9(3): 189-194.
서준호 외. 2011. 민간자격 국가공인을 위한 조사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신헌재. 1999. 초등학교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의 제문제. 독서연구 , 4: 209-230.
이만수. 2009. 독서교육 관련 민간자격 교육과정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0(3):181-202.
이삼형, 박희찬, 정옥년. 2001. 독서교육전문가 역할과 양성. 독서연구 , 6: 163-189.
이연옥. 2004. 독서의 사교육화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5(3): 41-63.
이정희. 2003. 독서지도사 양성과정 운영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부산대 교육대학원.
차성종. 2014.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5(3): 213-247.
최영환. 1999. 국민 독서 운동과 독서지도 전문가의 역할. 독서연구 , 4: 283-306.
취업을 빙자한 자격증 홍수시대. 2014. 주간경향 . 12월 9일.
한국어문교육연구소·국어과교수학습연구소 편. 2006. 독서교육사전 . 서울 : 교학사.
한철우. 1999. 중등학교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 방안. 독서연구 , 4: 231-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