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is a qualitative single case study and it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to explore change in interactive bibliotherapy experience with a middle-aged widowed spouse. A Middle-aged Widowed Spouse was taken as a research partaker. Through this research, we explored partitively the partaker's experience changes by each session during the commencing of interactive bibliotherapy and the partaker's inner/external experience change after the end of session. The result, interactive bibliotherapy facilitated and expressed the reaction of a partaker by its writing skills and reading materials including partaker's own poems. Furthermore, facilitated emotion from material and self-awareness made a partaker understand and accept itself through therapeutical interaction. In addition, those kind of changes appeared inner/external experience in life, and lasted after the end of the session. In this regard, the inner/external change appeared from a partaker means the effect of bibliotherapy, and we can notice that it is a result that facilitated through truthful reaction of counselor and texts.
고미영. 2009. 질적사례연구 . 서울: 청목.
고용남. 2011.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 12(2):489-504.
김경선, 성승연. 2012. 독서치료를 경험한 중년여성의 삶의 인식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17(3): 475-516.
김남식. 2003. 독서치료의 이론적 이해. 상담과 선교 . 가을: 33-70.
김현희 외. 2004. 독서치료 . 서울: 학지사.
김현희 외. 2010. 상호작용을 통한 독서치료. 서울: 학지사.
김현희. 2004. 표현예술치료로서의 독서치료. 독서치료연구 . 창간호: 99-117.
김효순. 2007. 재혼가족 청소년 자녀의 적응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인간발달연구 , 14(4):65-86.
박명희. 2014. 근거이론을 통한 집단독서치료 참여경험.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5(3):463 -488.
박정애, 이명우. 2015. 교통사고로 참여자를 경험한 중년여성의 트라우마 이해-Rosenthal의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54(2): 227-254.
변학수(2006). 통합적 문학치료 . 서울: 학지사.
서영석, 조화진, 안하얀, 이정선. 2012. 한국인이 경험한 외상사건: 종류 및 발생률.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 24(3): 671-701.
송남영. 2013. 중증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 사례연구 . 박사학위 논문, 성공회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양복순. 2002. 중년여성의 참여자경험에 관한 연구 .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오경미. 2007. 중년 여성의 참여자의미에 대한 주관성 연구. 주관성 연구 , 14: 79-92.
이문희, 유성경. 2009. 소암 이동식 선생의 치료개입모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상담학연구 , 10(2): 741-768.
임선영. 2013. 외상적 관계상실로부터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25(4): 745-772.
조민아. 2009. 성_비정형적 행동(gender-atypical behavior)을 보이는 남아 상담의 질적 사례연구. 상담학연구 , 10(2): 1051-1077.
최남희. 2010. 트라우마 내러티브 재구성과 회복효과. 피해자학연구 , 18(1): 285-309.
최미례. 2010. 독서치료의 현황과 상담에의 적용. 한국심리치료학회지 , 2(1): 81-98.
최태산, 김정한, 이동훈. 2014. 문화적 관점에서 바라본 PTSD 예방을 위한 재난심리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접근. 문화예술교육연구 , 9(5): 99-118.
황금숙. 2005. 외국 독서치료 연구동향 분석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39(2): 305-320.
Danzin, N. 1984. The Research Act. Englewood Cliffs. NJ: Prentic Hall.
Elo, S and Kyngas, H. 2005.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1): 107-115.
Hynes, A. M. & Hynes-Berry, M. 1994. Biblio/poetry Therapy-The Interactive Process : A Handbook. MN : North Star Press of St. Cloud.
Patton, M. Q. 1980. Qualatative Research Mathods. Beverly Hills. CA: Sage.
Palmer, R. E. 2011.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 이한우 옮김. 서울: 문예출판사.
Stake, R. E. 2000. 질적 사례연구 . 홍용희, 노경주, 심종희 옮김. 서울: 창지사
Yin, R. K. 2005. 사례연구방법 . 신경식, 서아영 옮김. 서울: 한경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