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주제명 데이터를 통해 본 현행 목록의 품질과 과제

A Study on the Quality of Subject Data in Library Catalog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5, v.46 no.4, pp.379-402
https://doi.org/10.16981/kliss.46.4.201512.379
노지현 (부산대학교)

초록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국내 자료조직 연구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주제명 데이터의 '품질'에 관해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대표도서관으로서 주제명표목표의 개발과 이를 이용한 주제명 데이터의 구축을 주도해 온 국립중앙도서관의 실체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 보이면서 과연 현재와 같은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 폭넓게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주제명 데이터에 반영되어야 할 '주제'의 의미와 속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어 국립중앙도서관에서 구축한 주제명 데이터의 품질을 절대적 품질과 상대적 품질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절대적 품질 분석을 위해서는 '대중자료'와 '학술자료' 중 샘플자료를 임의로 추출하여 이들 자료에 반영된 주제명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상대적 품질 분석을 위해서는 미의회도서관(이하 LC)과 국내의 A대학도서관에서 구축한 주제명 데이터와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keywords
주제, 주제명, 주제명표목, 주제목록법, 도서관목록, OPAC, 편목, 목록의 품질, Subject, Aboutness, Subject data, Subject headings, Subject cataloging, Library catalogs, Cataloging, OPAC, the Quality of catalogs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make a comprehensive inquiry into the quality of subject data in library catalogs. On the basis of National Library Subject Headings (NLSH) developed in 2002, National Library of Korea (NLK) has input the subject data into cataloging records since 2003. However a serious question could arise regarding whether the data are appropriate and desirable as a subject of the work.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examined as follows: First, the meanings and attributes of the ‘subject’ were examined with a comprehensive literature survey. Second, a experiment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 quality of the subject data. Sample records were selected from NLK, LC and A university library in Korea, and absolute and relative quality were compared. Finally, the substantial and realistic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ubject data were discussed.

keywords
주제, 주제명, 주제명표목, 주제목록법, 도서관목록, OPAC, 편목, 목록의 품질, Subject, Aboutness, Subject data, Subject headings, Subject cataloging, Library catalogs, Cataloging, OPAC, the Quality of catalogs

참고문헌

1.

국립국어원. 2014. 표준국어대사전 .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cited 2015. 8. 7].

2.

국립중앙도서관. 2002.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 개발 . 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3.

국립중앙도서관. 2014.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 업무지침 . 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4.

김태수. 2008. 목록의 이해 .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5.

백지원, 정연경. 2014.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 검색 시스템 개선 방안에 관한 연. 정보관리학회지 , 31(1): 31-51.

6.

윤희윤. 2015. 정보자료분류론 . 개정증보 제5판. 대구 : 태일사

7.

최달현, 이창수. 2010. 정보자료의 분류와 주제명 . 개정판.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8.

최윤경. 2015. 주제명 표목의 패싯 구조화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박사학위논문, 이화여대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9.

한국도서관협회. 2010. 문헌정보학 용어사전 .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10.

Albrechtsen, Hanne. 1993. “Subject Analysis and Indexing: from Automated Indexing to Domain Analysis.” The Indexer, 18(4): 219-224.

11.

Delsey, T. 2005. “Modeling Subject Access: Extending the FRBR and FRANAR Conceptual Model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39(3/4): 49-61.

12.

Fairthorn 1969, 79.

13.

Hjørland, Birger. 1992. “The Concept of ‘subject’ in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Documentation, 48(2): 172-200.

14.

Hjørland, Birger. 2001. “Towards a Theory of Aboutness, Subject, Topicality, Theme, Domain, Field, Content … and Relevanc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2(9): 774 778. –

15.

Hoover, Lona. 2005. “A Beginners’ Guide for Subject Analysis of Thesis and Dissertations in the Hard Science.”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1(1):133-161.

16.

IFLA. 2002. 서지레코드의 기능상의 요건(FRBR) 개념 모형. 김태수 역. 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17.

IFLA. 2012. 주제전거 데이터의 기능 요건(FRSAD) 개념 모형. 박지영 역. 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18.

Lancaster, F. W. 저. 1999. 색인 초록의 이론과 실제. 장혜란 역. 서울 : 구미무역.

19.

Langridge, D. W. 1989. Subject Analysis: Principles and Procedures. London : Bowker-Saur.

20.

Library of Congress. 2015. Introduction to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http://www.loc.gov/aba/publications/FreeLCSH/lcshintro.pdf> [cited 2015. 8. 9].

21.

Library of Congress. 2014. List of the Subject Heading Manual PDF Files.<http://www.loc.gov/aba/publications/FreeSHM/freeshm.html> [cited 2015. 8. 9].

22.

OCLC. 2013. FAST(Faceted Application of Subject Terminology). <http://www.oclc.org/research/themes/data-science/fast.html> [cited 2015. 9. 10].

23.

Rondeau, Sophie. 2014. “The Life and Times of Aboutness: a Review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terature.” Evidence Based Library & Information Practice, 9(1): 14-35.

24.

Taylor, Arlene G. and Daniel N. Joudrey. 2009. Th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3rd ed. Westport, Conn.: Libraries Unlimited.

25.

Wellisch, Bella Hass. 1988. “Why Indexing Fails the Researcher,” The Indexer, 16(1):3-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