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구 지역 다문화 유관 기관들의 다문화 정보자원의 생산, 수집, 관리를 포함하는 아카이빙 활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시청 다문화팀, 다문화 관련 센터와 시민단체, 공공도서관 등 총 12곳을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들은 온/오프라인을 통한 정보자원의 생산, 외부 정보자원의 수집, 그리고 공문서와 상담일지, 다문화 도서, 박물자료 등의 정보 관리를 위해 노력해왔으나, 이 과정에서 일부 문제점들도 나타났다. 향후 다문화 유관 기관들은 정보생산, 수집, 관리에서 책임성을 강화하고, 공공도서관은 다문화 유관 기관들의 자료에 대한 수집과 조직을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하며, 양측은 협력적 아카이빙 활동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archiving activities related to producing, collecting and managing information resources of multicultural agencies and organizations in Dae Gu. To do this, 12 agencies and organizations including Multicultural Team of Dae Gu,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foreign worker support center, NGOs for immigrants and public libraries were visited. As a result, these agencies and organizations have struggled for producing information resources through online and off-line, collecting information resources from external bodies and managing information resources like official documents, counseling reports, multicultural books and artifacts. But there were problems in archiving information resources. In order to solve problems, first, multicultural agencies and organizations should reinforce responsibilities to produce, collect and manage information resources. Second, public libraries should actively try to collect and organize information resources from these agencies and organizations. Finally, cooperative archiving activities between multicultural agencies and organizations and public libraries are needed.
김기영, 오해연. 2014.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3): 77-100.
김익한. 2013. 마을성 아카이브의 철학과 방법 : 소통의 핵심 기재로 주민 간 공감대 필수. 『주민자치』, 20: 18-21.
노지현. 2012. 한국 도서관계의 다문화 서비스 방향 모색 - 미국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참고하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5-27.
박성우. 2015. 공공도서관 다문화서비스를 위한 상호문화 관점의 수용.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371-392.
사공복희, 장우권. 2004. 재중 조선족 정보자원 생산과 콘텐츠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논총』, 9(1): 173-201.
양수현, 차미경. 2011.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311-332.
유기웅 외. 2012.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사.
이연옥, 장덕현. 공공도서관의 이주민서비스 전략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1):357-384.
이영남. 2012. 공동체아카이브, 몇 가지 단상. 『기록학연구』, 31: 3-42.
이영숙. 2005. 시민단체 기록 분류방안 연구 : 환경연합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2):73-101.
이혜원. 2015. 다문화정책 방향 제시 및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2): 337-366.
이혜정. 2015. 대구・경산지역의 이주민지원사업의 현황과 과제. 『다문화와 인간』, 4(1):87-105.
임진희. 2010. NGO 기록관리 컨설팅 방법 연구. 『기록학연구』, 26: 3-32.
장우권. 2012. 코리안 디아스포라 정보자원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4):403-425.
조용완. 2007. 이주민을 위한 국내 도서관 서비스의 현황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2): 245-269.
조용완. 2011. 협력기반의 다문화자료 입수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4):45-70.
남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 <http://www.liveinkorea.kr/center/default.asp?pzt=ct&cc=daegunamgu> [인용 2016. 3. 20].
다문화어린이도서관 모두 <http://www.dgmodoo.com/> [인용 2016. 3. 29].
대구광역시립북부도서관 <http://www.bukbu-lib.daegu.kr/> [인용 2016. 3. 10].
대구광역시립중앙도서관 <http://www.tglnet.or.kr/> [인용 2016. 3. 11].
대구시청 <http://www.daegu.go.kr/> [인용 2016. 3. 15].
대구외국인력지원센터 <http://www.dfwc.or.kr/> [인용 2016. 3. 22].
대구이주민선교센터 <http://mission4you.net> [인용 2016. 4. 2].
대구이주여성인권센터 <http://dgwmigrant.org/index.php> [인용 2016. 4. 2].
동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 <http://www.liveinkorea.kr/center/default.asp?pzt=mb&cc=daegudonggu> [인용 2016. 3. 20].
동구립 안심도서관 <http://www.donggu-lib.kr/> [인용 2016. 3. 25].
수성구립 범어도서관 <http://library.suseong.kr/beomeo/> [인용 2016. 3. 21].
수성구립 용학도서관 <http://library.suseong.kr/yonghak/> [인용 2016.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