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동의 도시기록화를 위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도시기록화 대상 대한 이론적 고찰과 도시재생 측면에서 양림동에 관련된 기록물들을 수집·조사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광주광역시 남구 방림동지역의 역사·문화적 사실을 배경으로 ‘선교’를 주제로 설정하여 기록화 사례를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n the urban documentation focused on the modern missionary of Yangrim-dong area in Nam-gu, Gwangju. For this, the city of Theoretical Study on the documentation and records related to, Yangrim-dong analyze the collection, investigation of this. Urban archiving was done on Yangrim-dong area in Nam-gu, Gwangju, where the Western missionary activities were active. The “history of city” was combined with “mission” and the cultures related to Yangrim-dong, which was then used as a theme to suggest the archiving plan.
강경민. 2012. 말 많던 서울 동대문운동장터. 『한국경제』, 2012.12.11.
계기석 외. 2001. 도시정체성(Urban Identity)과 도시발전. 『도시정보』, 229: 3-15.
광주기독병원선교회. 2015. 『제중원 편지 1』. 광주: 기독병원.
광주남구마을(동)지. 2002.『양림동』 광주: 광주남구문화원.
권상구 외. 2014. 『Urban Archives: 창조적 도시재생을 위한 장소의 기록과 기억의 재구성』. 안양시 : 국토연구원.
권순명, 이승휘. 2009. 지역 아카이빙을 위한 기록화방안 연구.『기록학연구』, 21: 41-84.
권용우, 변병설. 2011. 『도시』. 서울: 아지북스.
김영. 2014. 우리나라 도시 관리의 패러다임 변화와 도시재생. 『建築』, 58(6): 12-17.
김용웅. 2007. 우리나라 도시재생정책의 추진 현황과 방향. 『한국도시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1): 5-25.
김우영. 2012. 후기 산업시대 문화기반 도시재생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3(6): 5-21.
설문원. 2011. 디지털 환경에서의 로컬리티 기록화 방법론 연구. 『한국기록학회지』, 11(1):207-230.
『양림동산』. 2009. 광주: 양림사랑봉사회.
여진원, 장우권. 2013. 도시아카이브 구축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315-335.
여진원, 장우권. 2015. 도시 기록화 구성요소 도출을 위한 실험적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575-598.
이상준. 2007. 성남시 기성시가지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장우진. 2011. 지역성에 기반한 도시재생과 사회적 기업 연계의 기대효과.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3(1): 129-146.
장우진, 문수봉. 2010. “도시재생 참여주체로서 사회적기업의 가능성- 연계사업 중요도 분석 결과를토대로.”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2(2): 45-69.
조명호, 추용욱. 2010. 『강원도 도시재생 전략』. 춘천: 강원발전연구원.
천득염. 2009. 광주 양림동의 근대도시공간적 의미. 『호남문화연구』, 44: 1-32.
테오도르 폴 김. 2009. 『사고와 진리에서 태어나는 도시』. 서울: 시대의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