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독서치료사들의 경험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 중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식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독서치료사로 활동하고 있는 12명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각각 6명씩 2개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Krueger와 Casey(2000)가 제시한 질문 방식을 수정하여 도입 질문, 소개 질문, 주요 질문, 마무리 질문의 4가지 종류로 정하여 개방형 질문 방식으로 진행하고, Morgan과 Scannell(1998)이 제시한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 독서치료사로서 치료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해 7개의 주제, 26개의 범주, 84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치료과정에서 나타나는 도서관 독서치료사의 어려움을 관찰하고 개선점을 마련함으로써 각 치료 프로그램들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도서관과 독서치료사 모두 성장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미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focused on knowing what bibliotherapists experience while they are in a session with their clients in library settings. Qualitat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the main research tool or method used for this study.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2 bibliotherapist respondents specializing in librar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6 and each group was interviewed for approximately 2 to 3 hours. The interview employed a question asking methodology modified from that presented and/or originally used by Kruger and Casey(2000). The interview utilized open ended questions in the order of starting, introduction, main, and ending questions. Analyses of the interviews were based on methods presented by Morgan and Scannell(1998).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experiences through therapy sessions consisted of 7 different themes, 26 specific categories, and 84 unique concept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observe the problems bibliotherapist have or may encounter in library settings, provide feedback to make each session better, and as a result, help both the library and bibliotherapist during the bibliotherapy process.
김유순. 2004. 가족치료 과정연구로서의 가족치료 내담자 경험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2(2): 27-52.
김인례. 2005. 『기독교인의 우울증 치료방안으로서의 독서치료 연구』. 석사학위논문, 나사렛대학교 신학대학원.
이형득 외 공저. 2002. 『집단상담』.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임성관. 2013. 독서치료사로서의 길을 선택하고 유지해 가는 치료사들의 동기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디지틀도서관』, 2013년 가을호: 38-52.
임성관. 2008. 집단독서치료에서 치료사와 보조치료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독서문화연구』, 제8호: 31-51.
장서연, 최선남. 2014. 아동 미술치료사의 치료과정 경험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미술치료연구』, 21(4): 623-634.
장서연, 최선남. 2015. 청소년 미술치료사의 치료과정 경험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하여. 『미술치료연구』, 22(2): 409-432.
한국직업사전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25496&cid=42117&categoryId=42117> [인용 2015. 5. 19].
Doll, B. & Doll, C. 1997. Bibliotherapy with young people: Librarians and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orking together. Englewood, Colorado: Libraries Unlimited, Inc.
Hynes, A. M. and Hynes-Berry, M. 1994. Biblio/Poetry Therapy-The Interactive Process: A Handbook. St. Cloud., M, N: North Star Press of St. Cloud.
Pnisof, W. M. 1988. 『Strategies for the study of family therapy process』. In L. C.
Watson, D. C. 1994. The effects of three bibliotherapy techniques on fourth graders'self esteem, reading achievement, and attitudes toward read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orth Carol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