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사회』교과서에 포함된 탐구 과제를 탐구 절차에 해당하는 정보활용과정을 기준으로 분석하고, 사서교사가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정보서비스 내용을 알아보는 것이다. 분석 결과 4․5․6학년 1학기『사회』교과서는 총 69개의 탐구 과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 60개가 개별 과제이다. 정보활용과정 측면에서 4학년은 개별적으로 관련 자료를 찾거나 조사한 후에 정리하여 발표하는 형태로 탐구 과제를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5․6학년은 개별적으로 주로 교과서에 실린 시각 자료와 텍스트를 읽고 그 결과를 구술 형식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정보활용과정 2단계의 적절한 정보원 판단하기, 3단계의 찾아낸 정보 정리하기 그리고 4단계의 과제 해결 결과와 과정 평가하기에 대한 정보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quiry tasks of social studies textbooks of the first term focused on the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and find out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in elementary schools.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re are 69 inquiry tasks. Among them 60 tasks are individual tasks. Within the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the 4th grade students seem to resolve their tasks by researching or investigating resources, arranging and presenting the results of inquiry individually. The 5th and 6th grade students could read visual materials written in the text books to perform the individual inquiry tasks and present their results orally. So teacher librarian can help students judge proper information resources of the second step, order the found information of the 3rd step and evaluate the results and process of 4th step under the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교육부. 2011. 『2011 수정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교육부. 2014. 『사회 4-1』. 서울: 동아출판.
교육부. 2015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세종: 교육부.
교육부. 2015b. 『사회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교육부. 2015c. 『사회 5-1』. 서울: 동아출판.
교육부. 2016. 『사회 6-1』. 서울: 동아출판.
민 윤. 2007. 역사 학습에서 탐구의 재고: 실재적 탐구의 가능성. 『사회과교육연구』, 14(4):1-26.
송기호. 2015.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공통 탐구 과제에 포함된 정보활용과정 요소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233-252.
신장미. 2009.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서 그림 읽기 전략을 통한 역사 학습 활용 방안』.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이광원. 2013. 동화를 활용한 초등학교 경제 수업 실천 방안. 『사회과교육연구』, 20(4): 81-96.
이종일. 2006. 사회과 수업에서 탐구의 의미. 『사회과교육연구』, 13(2): 1-20.
조혜미. 2009. 『교과독서를 위한 장서개발 연구: 초등학교 6학년 사회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정수영. 2009. 『초등학교 6학년 사회 교과서 사료의 적합성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교육대학원.
최정순. 2016.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시각 매체의 특성 및 읽기 방향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19(1): 97-118.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 교육과정편찬위원회. 2011. 『도서관과 정보생활: 초등학교 4․5․6학년용』. 서울: 미래엔컬처.
Breivik, Patricia Senn. 1998. Student Learning in The Information Age. Arizona : The Oryx Press.
Educational Broadcasting Corporation. 2004. What is inquiry-based learning?. <http://www.thirteen.org/edonline/concept2class/inquiry/index.html>. [cited 2016. 7. 5.].
IFLA. 2015. The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2nd. completely updated and enlargededition. <http://www.ifla.org/files/assets/school-libraries-resourcecenters/publications/ifla_school_library_guidelines_draft.pdf>. [cited 2016. 6. 12].
Stripling, Barbara K. and Sandra Hughes-Hassell. 2003. Curriculum Connections Through the Library. London : Libraries Unlimi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