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 Study on Subject Guide Development for Modern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6, v.47 no.3, pp.315-341
https://doi.org/10.16981/kliss.47.3.201609.315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subject guides for modern Korean literature materials that National Library of Korea owns. These were developed through processes such as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research on user's awareness,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subject guides in order to reflect characteristics unique to modern Korean literature which existed under special historical conditions. The results of acquiring actual data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cquired bibliographic data on 23,731 cases of works and information about figures regarding 117 author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Second, this study covered raw data generated by the corresponding authors from 1894 to 1945 and the derived data generated by other authors until now on the basis of that. Third, an attempt was made to cluster the relevant information through arrangement system by author, genre and time period. The above-mentioned study results are regarded to be significant because an attempt is made to systematize and structure modern Korean literature existing in a complicated condition to such an extent that it was not possible for even the relevant academic world to find exact statistical data on author at that time.

keywords
Modern Korean literature, Subject guide, Modern Korean literature subject guide, Raw data, Derived data,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 원자료, 파생자료

Reference

1.

권영민. 1991. 『한국현대문인대사전』. 성남: 아세아문화사.

2.

권혁준. 2012. 『아이들보이』의 아동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문학연구』, 22: 5-60.

3.

김근수. 1992. 『한국잡지 연구』. 서울: 한국학연구소.

4.

김명인. 2005. 한국 근대 문학개념의 형성과 - ‘비애의 감각’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6(2): 171-201.

5.

김윤식, 김현. 1984. 『한국문학사』. 서울: 민음사.

6.

문화체육관광부. 2015. 『국립근대문학관 건립 방향과 근대문학유산의 활용방안 대토론회』. 서울:문화체육관광부.

7.

백 철. 1980. 『신문학사조사』. 서울: 신구문화사.

8.

오창은. 2013. 국립 근대문학관 건립 방안에 관한 연구 - 국립 근대문학관의‘의미구성’과‘공간구성’을 중심으로. 『어문론집』, 56: 327-351.

9.

원종찬. 2008. 한국 아동문학 형성과정 연구 - 『소년』(1908)에서 『어린이』(1923)까지. 『동북아문화연구』, 5: 73-97.

10.

이경현. 2013. 『1910년대 新文館의 문학 기획과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11.

이선영. 2001. 『20세기 한국문학에 대한 전문가의 반응 - 『한국문학논저 유형별 총목록』제1-7권에 의거하여』. 서울: 실천문학.

12.

오현숙. 2016. 『한국 아동문학의 형성과 장르 분화 - 동화와 아동소설을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13.

이혜우. 2009. 『한국근대문학사 기술방법 비교연구』. 박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14.

임 화. 2009. 『개설조선신문학사』. 서울: 성현사.

15.

조동길. 2014. 『한국 근대문학의 지실』. 서울: 푸른사상.

16.

조동일. 2005. 『한국문학통사5』. 서울: 지식산업사.

17.

조연현. 1985. 『한국현대문학사』. 서울: 성문각.

18.

한승옥. 2002. 『이광수 문학사전』.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

홍현진 외. 2015. 한국근대문학 주제가이드에 대한 이용자 인식 조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46(3): 381-405.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