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 study on Improvement and Analysis of Records Management Status for Disaster Safety Archives in Online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7, v.48 no.2, pp.187-213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187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In order for preemptive response and prevention against disasters,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collect, preserve, manage, and utilize the information resources of records related with disaster safe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and status of text-based document archives among the records information resources which were published and produced by the disaster safety-related institutions via online. Detail types analysis of disasters in document archives also was conducted. Based on filed interviews, the actual users ' requirements for the disaster safety information archives are converged.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basis for building of disaster safety information archives by deriving improved management strategies of disaster safety records resources.

keywords
재난, 재난관리, 재난안전기록, 재난안전문서정보 아카이브, Disaster, Disaster management, Disaster safety records, Disaster safety document archives

Reference

1.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 2014. 법률 제12844호.

2.

국가정보화 기본법 . 2015. 법률 제13340호.

3.

국립중앙도서관 재난아카이브. <http://www.oasis.go.kr/collection/mainDisa.do> [인용 2017.02.20].

4.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5. 재난안전교육체계 정립을 위한 재난유형 분류 및 표준화 . 울산: 동연구원, 2015-12.

5.

국민안전처. 2016. 스마트한 재난안전관리, 빅데이터로 시작한다. 보도자료. 4월 20일.

6.

국민재난안전포털. <https://www.safekorea.go.kr> [인용 2016.11.01].

7.

김동욱, 윤건. 2010. 정보공유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정보학회지 , 13(4): 53-74.

8.

김인태. 2006. 국가 화재조사 자료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 20(4): 105-109.

9.

김진성. 2015. 세월호 참사에 관한 기록정보관리 분야의 사회적 역할. 기록학연구 , 44: 199-215.

10.

문화재 기록화사업 관리 및 활용에 관한 규정 . 2007. 문화재청 훈령 제109호.

11.

문화재청. 2010. 문화유산 기록정보자원 관리체계 합리화방안 . 대전: 문화재청.

12.

설문원. 2012. 공간 중심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의 설계.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3(4): 437-455.

13.

송주형. 2015. 구술을 통한 재난 사고의 기록화 : 세월호 참사 관련 구술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 (44): 155-197.

14.

여진원, 장우권. 2013. 도시아카이브 구축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7(2):315-335.

15.

오아시스누리집. <http://www.oasis.go.kr> [인용 2017.02.20].

16.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 2017. 법률 제14553호.

17.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 . 2017. 대통령령 제27768호.

18.

재난안전데이터 포털. <https://data.mpss.go.kr> [인용 2016.11.01].

19.

전봉희, 우동선, 이우종. 2004. 한국의 건축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 20(3): 94-103.

20.

정혜린, 김익한. 2009. 미술 아카이브의 미술기록관리 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 (20): 151-212.

21.

한국방재학회. 2014. 재난관리론 . 서울: 도서출판 구미서관.

22.

현문수. 2014. FRBRoo/CIDOC CRM 기반의 로컬리티 정보자원 구조화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5(4): 265-290.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