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사람 책 참여자의 체험 현상 분석 연구- 경기도교육청의 사람 책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 Study or Analysis of the Phenomenal Experiences with Human Book - Focusing on the Human Book Program at the G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7, v.48 no.3, pp.153-176
https://doi.org/10.16981/kliss.48.3.201709.153
임성관 (경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사람 책의 실제 체험을 통해 겪게 되는 주관적인 경험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문헌들을 고찰하고 선행되어진 논문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사람 책 체험의 현상학적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를 선정하고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로는 경기도교육청 소속으로 사람 책 활동을 2년 이상 하고 있는 분들 3명으로서, 심층 인터뷰의 내용은 첫째, 사람 책의 필요성, 둘째, 사람 책 활동을 통한 체험, 셋째, 사람 책에 대한 인식의 변화, 넷째, 사람 책 적용의 개선점의 4가지로 분류하여 인터뷰 하였다. 그 결과 사람 책 활동에 참여한 학교 및 독자 수, 사람 책의 숫자는 계속 확장되었고, 더불어 사람 책 활동은 참여 독자들은 물론이고 사람 책 자신에게도 성장의 기회가 되었다.

keywords
사람 책(휴먼 라이브러리), 리빙 라이브러리, 독서, 독자와의 만남, 도서관 행사, Human book(human library), Living library, Read, Relating with a readers, Library events

Abstract

This article or study subjectively explores actual experiences of a human book from a phenomenal viewpoint and is based on considerable amounts of reference literature and the collecting/analyzing of precedent theses data. Selecting specific research samples and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ere made to elicit the phenomenal marks or responses in human book experiences. Samples included a total of three human book practicing teachers belonging to Gy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ho were picked out or chosen according to their rich performance experiences/activities over a two year period. They were interviewed in four different basic topic areas or parts sectioned out to the following: 1) actual needs of a human book; 2) experiences in human book; 3) changes of cognition to the human book; and, lastly 4) improvement in the application of a human book. As a result, the number of schools, the number of readers, and the number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human book activities continued to expand. In addition, human book activities have become an opportunity for growth not only for participating readers, but also for the human book itself.

keywords
사람 책(휴먼 라이브러리), 리빙 라이브러리, 독서, 독자와의 만남, 도서관 행사, Human book(human library), Living library, Read, Relating with a readers, Library events

참고문헌

1.

김민영, 황인혜. 2015. 공공도서관의 휴먼라이브러리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논집 , 8: 139-142.

2.

김현정, 한석진. 2017. 무용학의 현상학적 접근에 대한 비판적 이해. 무용예술학연구 , 63(1):19-34.

3.

남효진. 2017. 통합독서를 위한 리빙 라이브러리 프로그램 연구 .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독서교육전공.

4.

문화체육관광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https://www.libsta.go.kr> [인용 2017. 9. 10].

5.

박나원, 오동근. 2015.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의 휴먼라이브러리 프로그램 운영현황 및 운영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하계 학술발표회 , 5: 183-191.

6.

이재형. 2016. 리빙 라이브러리의 비판적 검토와 독서교육적 함의. 동남어문논집 , 41: 69-88.

7.

조찬식. 2014. 휴먼라이브러리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5(3): 9-28.

8.

허정숙. 2017. 사람 책을 빌려드립니다. 월간 샘터 , 7: 48-49.

9.

황희선. 2014. 휴먼 라이브러리 기획 과정 연구 : 휴먼 라이브러리의 정체성과 방법론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전공.

10.

Husserl, E. 1913. Ideas Pertaining to a Pure Phenomenology and to a Phenomenological Philosophy, F. Kersten(trans.)(The Hague: Martinus Nijhoff, 1983), p.35.

11.

Morgan, David L. & Scannell, Alice U. 1998. Planning Focus Groups. New York: SAGE.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