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 80년대 건립된 도서관들은 시설 노후화로 인한 안전문제와 도서관 시설 이용에 대한 이용자 불만 및 불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한 시설 현대화(리모델링)가 시급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지난 2014년에 발표된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 2018)』에서는 ‘노후 도서관의 시설 개선’을 주요 정책 과제로 설정한 바 있고, 각 지역에서도 지역 도서관 발전을 위한 시행 계획에 ‘노후 도서관의 리모델링’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교육청 공공도서관 14개관을 대상으로 하여 리모델링의 타당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리모델링의 우선순위와 추진방향, 범위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문헌연구, 현장실태조사, 설문조사,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의 리모델링을 추진하는 근거자료로서, 더불어 타 지역에서 리모델링 사업의 근거자료를 확보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ld-age public libraries constructed in the 1970s and 1980s are exposed to safety problems and user complaints due to facility aging. For this reasons, demands and in-depth discussions for the remodeling of old public libraries are on the rise. The Korean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has set this issue as a major initiative, and local governments are also interested in establishing an action 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easibility for remodeling of 8 obsolete public librar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In details, this study analyzes the libraries that need to be remodeled with the reasonable grounds, and suggests in what order and manner the remodeling should proce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literature review, on site field survey, and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librarians and library users. The final conclusions were verified through working-level meetings and experts’ advise.
고흥권, 임채진, 임호균. 2012. 공공도서관 공간규모계획기준에 관한 기초적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4): 190-199.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www.libsta.go.kr>
김동재, 최용재, 김갑열. 2010. 병원건축물 리모델링의 경제적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 11(1): 70-78.
김홍렬. 2017.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정책적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조직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8(3): 21-44.
노영희, 최만호. 2016. 도서관 공간구성의 이해 . 서울: 청람.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도서관건립계획지원시스템. <http://lib-bldg.clip.go.kr/html20 16/main.asp>
문화체육관광부. 2016.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 .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부산광역시 교육청. 2017. 2017년도 주요업무계획 . 부산: 부산광역시 교육청.
부산광역시. 2014. 부산대표도서관 건립 기본계획 연구 . 부산: 부산광역시.
부산발전연구원. 2008. 국립중앙도서관 부산분관 설립 관련 타당성 검토 연구 . 부산: 부산발전연구원.
부천시. 2013. 오정도서관 및 복합 문화시설 타당성조사·기본계획수립 용역 . 경기도: 부천시.
양재영, 김동훈. 2016. 도시재생 기법을 도입한 공공도서관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36(1): 151-154.
이상복. 2004. 공공도서관 건립 타당성 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5(4): 491-516.
한국도서관협회. 2013. 2013년판 한국도서관기준 .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Buschman, J. E. and Gloria J. Leckie. 2007. The library as place: history, community, and culture. Westport. CT: Libraries Unlimited.
Ranssen, E. 2002. “Library as place: Changing perspectives.” Library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16(4): 203-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