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노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도서관 정책수립의 고려사항

A Study on Considerations of the Library Policy Establishment to Resolve Digital Divide of Older Adult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7, v.48 no.4, pp.77-105
https://doi.org/10.16981/kliss.48.4.201712.77
윤혜영 (중부대학교)

초록

우리사회가 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의 정보격차 해소는 점점 더 중요하지만, 현실적으로 다른 정보취약계층에 비해 소외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도서관 정책수립에 고려하여야 할 사항들을 제안하기 위해 「국가정보기본법」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의 소속직제를 통해 관련 규정을 살펴본 다음 도서관분야에서는 노인 서비스 지침과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서비스는 전국의 공공도서관을 기본거점기관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국가적 차원에서 노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서비스가 공공도서관을 통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keywords
Digital divide, Older adults, Library policy, Information services, Information poor, 정보격차, 노인, 도서관정책, 정보서비스, 정보취약계층

Abstract

As our society enters an aged society, i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o resolve digital divide of older adults. However, the digital divide of the older adults are generally neglected compared to other information poo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considerations for library policy development in order to resolve the digital divide of the older adults. The study examined regulation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Informatization and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lso it investigated guidelines and current status of services to older adults in the library. The study suggested that public libraries should be used as a basic base for the services to resolve the digital divide to older adults across the country, and the services should be organized systematically and sustainably through public libraries.

keywords
Digital divide, Older adults, Library policy, Information services, Information poor, 정보격차, 노인, 도서관정책, 정보서비스, 정보취약계층

참고문헌

1.

김다은, 차미경. 2016. 고령자를위한공공도서관지역정보서비스에관한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7(2): 213-233.

2.

김보일, 김선호. 2017. LibQUAL+를적용한공공도서관노인서비스품질평가에관한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8(1): 319-344.

3.

김선호. 2004. 공공도서관의 노인편의증진시설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38(4):167-178.

4.

김선호. 2003. 공공도서관의 노인용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4(3): 111-124.

5.

김선호. 2002. 공공 도서관의 노인 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3(4):101-123.

6.

김영신. 2007. 공공도서관 노령자서비스에 대한 잠재이용자 인식 연구 : 대전지역 노인복지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1(2): 55-79.

7.

김은지, 이성신. 2014.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를 위한 제언.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5(2):59-76.

8.

김정아, 장혜란. 2016.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정보행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 33(1):197-223.

9.

김현곤, 황종성, 조정문. 2000.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종합방안 연구보고서 . 서울: 한국전산원.

10.

김홍열(2016). 도서관통계에 나타난 정보취약계층의 지표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50(3):193-214.

11.

나경식, 정용선. 2017. 건강정보검색에서노인이경험하는어려움과감정변화.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8(1): 227-243.

12.

노아름, 오동근, 여지숙. 2015.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의 노인서비스 현황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 회 논문집 , 2015.8, 93-98.

13.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7.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2018) 2017년도 시행계획 .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14.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2018) .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15.

박옥화. 2007. 공공도서관고령이용자에대한연구: 대전지역공공도서관을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8(1): 375-396.

16.

오선혜, 이성숙. 2012. 공공도서관시니어이용자의도서관불안에관한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3(1): 257-276.

17.

윤정옥, 곽동철, 심경. 2012. 정보취약계층의 정의와 속성에 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6(4): 189-206.

18.

윤희윤. 2012. 공공도서관의 지식정보 취약계층서비스 전략.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3(2):53-75.

19.

이명희, 김미초. 2010. 공공도서관에서제공하는노인대상교육프로그램에관한연구: 노인종합복지관과 비교하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1(3): 91-107.

20.

이승민. 2012. 미국 사회에서 스마트 기기가 정보격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3(2): 29-52.

21.

이정연. 2011. 정보소외계층을 위한 도서관의 문화복지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2(2): 27-39.

22.

장덕현. 2012.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강화 방안 연구: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3(3): 193-210.

23.

장혜란. 2015. 노안 독자를 위한 큰글자도서 이용가능성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 32(3):341-360.

24.

장혜란. 2002. 노인들을 위한 인터넷기반 정보서비스 구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 19(4): 185-212.

25.

조용완. 2007. 국내 공공도서관의 정보격차해소 활동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8(4): 167-186.

26.

조은주, 장혜란. 2010. 독서치료프로그램이노인스트레스감소에미치는효과연구. 정보관리학회지 , 27(4): 259-281.

27.

조정문. 2001. 정보격차에 대한 이해 및 해소정책, 정보학회지 , 19(9): 26-36.

28.

통계청. 2016. 장래인구추계: 2015-2065 . e-나라지표. 남녀별 연령별 인구구조. <http://index.go.kr/>[인용 2017. 10. 10].

2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2016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30.

ALA. RUSA. 2017.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s with 60+ Audience: Best Practices. <http://www.ala.org/rusa/sites/ala.org.rusa/files/content/resources/guidelines/60plusGuidelines2017.pdf> [인용 2017. 12. 7].

31.

CLA. 2002. Canadian Guidelines on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Older Adults. <http://cla.ca/wp-content/uploads/Library-and-Information-Services-for-Older-Adults-No v-2007.pdf> [인용 2017. 12. 7].

32.

Guntel, David J. 2003. “Second Thoughts: Toward a Critique of the Digital Divide.” New Media & Society, 5(4): 499-502.

33.

Kuttan, A. and Peters, L., 2003. From Digital Divide to Digital Opportunity. Lanham, MD: Scarecrow.

34.

OECD. 2001. Understanding the Digital Divide. Paris: OECD.

35.

UN. 1999. United Nations Principles for Older Persons. <http://www.ohchr.org/EN/ProfessionalInterest/Pages/OlderPersons.aspx> [인용 2017. 12. 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