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자유학기제에 대한 도서관의 대응 방안 연구

A Study on Effective Counterplan of Library to Free Learning Semester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7, v.48 no.4, pp.49-76
https://doi.org/10.16981/kliss.48.4.201712.49
권은경 (대구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자유학기제는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방법 개선과 진로교육 강화로 교육혁신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핵심역량의 함양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변화하는 교육환경에서 학교도서관의 이용, 공공도서관의 지원 활동 현황과 개선 방안, 그리고 대학도서관과 문헌정보학과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학교도서관은 핵심역량 함양에 효과적인 교육 인프라임에도 불구하고 활용도는 매우 낮으며, 공공도서관의 학교 지원 프로그램은 외부 특강과 탐방에 치우쳐 도서관의 자료와 서비스를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기에 미흡하다. 교육계가 공공도서관의 지원 활동에 큰 관심을 갖고 있으므로 학교도서관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는 협력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역의 대학도서관과 문헌정보학과의 교수, 학생을 연계하여 직업체험, 진로교육, 그리고 역량 함양을 아우르는 입체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공공도서관의 주도적 역할이 기대된다.

keywords
Free learning semester, Improving instructional methods, Key competencies, Public libraries, Library on the road, Library-assisted instruction, 자유학기제, 수업개선, 핵심역량,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공공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자유학기 프로그램

Abstract

Free learning semester aims to foster key competencies in junior high students via reinforcing student participation and career educatio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ograms of school and public libraries, as well as the roles that university libraries and LIS could play in th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School libraries, though an essential element in the educational infrastructure, are seriously underused. In addition, the support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tend to focus on guest lectures or field trips, rather than reinforcing the students to experience the foundational library services. Public libraries are in a good position to play an active role in strengthening school libraries. They should take a proactive role in forming a partnership with university libraries, LIS faculty and students, and in developing diverse programs ranging from vocational/career education to enhancing key competencies.

keywords
Free learning semester, Improving instructional methods, Key competencies, Public libraries, Library on the road, Library-assisted instruction, 자유학기제, 수업개선, 핵심역량,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공공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자유학기 프로그램

참고문헌

1.

강봉숙. 2012. 도서관활용수업을 통한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STP 전략 . 박사학위 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

교육부. 2013.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안) <http://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16&lev=0&statusYN=W&s=moe&m=0302&opType=N&boardSeq=47981> [인용 2017. 9. 10].

3.

교육부. 2014. 교육부-대교협, 전문대교협 MOU체결 (2014. 12. 12. 보도자료) <http://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boardSeq=51824&lev=0&searchType=S&statusYN=W&page=1&s=moe&m=0503&opType=N> [인용 2017. 10. 8].

4.

교육부. 2015.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 <http://www.moe.go.kr/newsearch/search.jsp> [인용 2017. 9. 10].

5.

교육부. 2017. 내년부터 희망하는 학교에서 자유학년제를 시작한다 (2017. 9. 12. 보도자료) <http://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boardSeq=72068&lev=0&searchType=null&statusYN=C&page=5&s=moe&m=0503&opType=N> [인용 2017.10. 8].

6.

교육부 자유학기제 홈페이지. 2016년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 결과 보고서. <http://www.ggoomggi.go.kr/page/new/page_view?no=2206&boardType=32000&title=4&subTitle=4> [인용 2017. 8. 5].

7.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16a. 도서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 도서관에서 책과 함께 하는 글쓰기 . 서울: 동도서관.

8.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16b. 도서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 도서관의 보물상자 (친구) . 서울: 동도서관.

9.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16c. 도서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 도서관의 보물상자 (상상력) . 서울: 동도서관.

10.

권은경. 2014. 학교도서관 활용교육의 현상에 대한 분석 연구 –연구학교보고서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5(4): 139-164.

11.

김정숙. 2016. 자유학기제 연계 프로그램 운영 사례. 사도회지 , 20: 21-38.

12.

김진경. 2016. 부평도서관 자유학기제 연계 프로그램. 사도회지 , 20: 42-49.

13.

노영희, 김혜인. 2016a. 도서관의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수요조사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7(3): 187-211.

14.

노영희, 김혜인. 2016b. 자유학기제를 활용한 도서관의 역할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7(4): 93-122.

15.

박민정. 2009.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과 비판적 쟁점 분석:내재된 가능성과 딜레마를 중심으로. 교과과정연구 , 27(4): 71-94.

16.

박지선. 2015. 자유학기제와 공공도서관의 역할. 사도회지 , 19: 17-40.

17.

백남진, 온정덕. 2016.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이해와 설계 . 서울: 교육아카데미.

18.

서울특별시교육청. 2015. 2016 서울형자유학기제 운영 계획. <http://www.sen.go.kr/view/jsp/search/search_attach.jsp?&q=2016+%BC%AD%BF%EF%C7%FC%C0%DA%C0%AF%C7%D0%B1%E2%C1%A6&w=NEW_ALL&date_period=all&pg=3> [인용 2017. 10. 8].

19.

서울특별시교육청, 2016. 2017 서울형자유학기제 운영 계획. <http//www.sen.go.kr/view/jsp/search/search_attach.jsp?&q=2016+%BC%AD%BF%EF%C7%FC%C0%DA%C0%AF%C7%D0%B1%E2%C1%A6&w=NEW_ALL&date_period=all&pg=3> [인용 2017. 10. 8].

20.

송기호. 2016. 자유학기제 지원을 위한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및 매뉴얼 개발 .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1.

신철균. 2014.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착 방안 연구 .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2.

신철균. 2015. 자유학기제 교육활동의 특징과 공공도서관의 역할. 사도회지 , 19: 8-13.

23.

신철균, 박민정 2015.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세 학교의 대한 사례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 33(1):309-338.

24.

신철균, 황은희, 김은영. 2015.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 분석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 16(3):27-55.

25.

양소라. 2009. 메타분석과 실증연구를 통한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6.

유명희. 2017. 자유학기제 활용을 통한 중등 건축융합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 청소년시설환경 , 15(1): 129-140.

27.

이경화, 송기호. 2016. 자유학기제 지원을 위한 통합 주제 중심의 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7(4): 85-104.

28.

이승순. 2015. 학교와 자유학기제 활동. 사도회지 , 19: 14-16.

29.

이재희. 2016. 공공도서관 청소년 진로탐색 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부천시립원미도서관 중심으로-. 디지틀도서관 , 82: 86-105.

30.

임종헌자. 2016. 유학기제 운영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양가성 현상의 발견과 의미. 교육행정학연구 , 34(4): 99-128.

31.

정광순. 2013. 자유학기제 도입과 중학교 수업 개선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3(6):399-421.

32.

최상덕. 2014a. 2013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사례연구 종합보고서 .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3.

최상덕. 2014b. 2013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사례연구 학교별 사례보고서 .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4.

최상덕. 2014c. 2014년도 1학기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사례연구 종합보고서 .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5.

최상덕. 2016a. 2015년도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사례연구 종합보고서 .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6.

최상덕. 2016b. 2015학년도 2학기 자유학기제 운영 만족도 조사 결과 .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7.

최용훈. 2016. 자유학기제 동아리 활동으로서 북트레일러 운영 사례. 디지틀도서관 , 82:62-85.

38.

한국도서관협회. 2015. 2015년 공공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운영 사업 자유학기제 특별프로그램 모집 공고(2015. 6). <http://www.libraryonroad.kr/> [인용 2017. 8. 11].

39.

현은령. 2015. 미디어융합디자인을 통한 자유학기제 창의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15(2): 510-518.

40.

황금숙. 2015.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 기반 독서문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41.

황금숙, 김수경. 2016. 자유학기제를 위한 도서관기반 독서문화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7(3): 99-128.

42.

황은희. 2015. 도서관과 자유학기제. 도서관문화 , 56(5): 30-33.

43.

IFLA. 2015. The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2nd. edition. <https://www.ifla.org/files/assets/school-libraries-resource-centers/publications/ifla-school-library-guidelines.pdf> [cited 2017. 8. 10].

44.

CISCO. Assessment & Teaching of 21st Centry Skills. <https://www.cisco.com/c/dam/en_us/about/citizenship/socio-economic/docs/ATC21S_Exec_Summary.pdf> [cited 2017. 10. 3].

45.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https://www.oecd.org/pisa/35070367.pdf> [cited 2017.10.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