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현주소와 정책적 과제

Current Status and Policy Tasks of public Library in Seoul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8, v.49 no.2, pp.1-23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1
윤희윤 (대구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서울시 공공도서관을 위한 정책과제를 발굴․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거시적으로는 공공도서관 핵심지표를 이용하여 서울시와 글로벌 경쟁도시의 격차를 비교하고, 미시적으로는 공공도서관 인프라 및 서비스 지표를 중심으로 서울시 및 광역시도의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어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과 「도서관 및 독서문화 활성화 종합계획」을 연계하여 공공도서관 정책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지식문화 수도를 위한 브랜드화, 도서관 핵심역량 및 시스템의 선진화, 시민중심의 지식문화 생태계 조성, 시민의 서비스 만족도 및 기대편익 극대화를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미래지향적 정책과제로 제시하였다.

keywords
Seoul city, Urban competitiveness, Public library, Library policy, Policy evaluation and tasks, 서울시, 도시경쟁력, 공공도서관, 도서관정책, 정책평가와 과제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cy tasks for the public library in Seoul. For this goal, researcher compared macroscopically the gap between the Seoul city and the global competitiveness city using the core index of the public library, and analyzed microscopically the level of the Seoul city and the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focusing on the public library infrastructure and service index. Next, researcher evaluated the public library policies by linking the 「2030 Seoul City Master Plan」 and the 「Library and Reading Culture Revitalization Plan」.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er proposed branding for global knowledge culture capitals, advancement of core competencies and systems of libraries, composition of citizen centered knowledge culture ecosystem, maximization of citizen's service satisfaction and expected benefits as future-oriented policy tasks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keywords
Seoul city, Urban competitiveness, Public library, Library policy, Policy evaluation and tasks, 서울시, 도시경쟁력, 공공도서관, 도서관정책, 정책평가와 과제

참고문헌

1.

문화체육관광부. 2015-2017. 『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 서울: 동부.

2.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4. 『서울시 공공도서관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 동연구원.

3.

서울특별시. 2012. 『책 읽는 서울을 위한 도서관 및 독서문화 활성화 종합계획』(미공간 자료).

4.

서울특별시. 2014.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 본보고서』. 서울: 서울특별시.

5.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2017. 『서울특별시교육청 공공도서관 발전방안 정책 연구』. 서울: 동 정보원.

6.

윤희윤, 2013. 공공도서관 공동보존서고 건립모형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3): 51-74.

7.

윤희윤. 2007. 국내 공공도서관의 정책적 현안과 과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2): 31-54.

8.

윤희윤. 2017. 국내 공공도서관 생태계의 담론적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1):5-26.

9.

이제환. 2016. 한국 공공도서관정책의 추이와 과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1): 21-46.

10.

장지숙, 등. 2010.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 정책 분석: 중장기 계획과 담당 조직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2): 15-28.

11.

A.T. Kearney’s. 2017. Global Cities 2017: Leaders in a World of Disruptive Innovation.<http://dw.crackmypdf.com/0465667001509677927/global_cities_2017_-_leaders_in_a_world_of_disruptive_innovation.pdf> [cited 2017. 11. 21].

12.

Department for Digital, Culture, Media & Sport. 2016. Libraries Deliver: Ambition for Public Libraries in England 2016 to 2021. London: The Department.

13.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2016. Bibliotheques Municipales :Donnees d'activite 2014. Paris: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14.

Mainka, Agnes, et al. 2013. “Public Libraries in the Knowledge Society: Core Services of Libraries in Informational World Cities.” Libri, 63(4): 295-319.

15.

World Cities Culture Form. “Global Leadership on Culture in Cities.” <http://www.world citiescultureforum.com/data/of-total-national-country-population-living-in-the-city> [cited 2017. 11. 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