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장을 대상으로 공공도서관의 도서관 특성화 및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식과 의견을 조사함으로써, 도서관 특성화에 대한 발전적인 방향성을 논의하는데 있다. 69명의 관장이 설문에 응하였으며, 주요 결과로는 특성화서비스 제공에 있어 인력과 예산 부족의 어려움이 있지만 도서관 특화서비스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며 앞으로 유지 발전해 나갈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공공도서관의 특화서비스 제공과 주제전문사서 배치는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자격은 석사 이상의 학력과 4-7년 이상의 해당 업무 경력이 적절하며 국가자격제도로 관리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서비스는 서비스를 담당할 주제전문사서 양성시스템 정비, 주제전문사서 자격제도의 확립과 운영, 특성화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주제관련 기관들과의 협력 등에 관한 깊은 논의가 향후 후속 연구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public library specialization by investigating the library specialization and the perception and opinions on the theme specialized librarians. A total of 69 directors have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main result was that while there are difficulties in terms of manpower and budget in providing the specialization services, they have been fully aware of the need and value of the libraries’ specialized services and were willing to maintain and develop the services in the future. In addition,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provision of specialized services and the placement of theme specialized librarians at the public libraries are essential. The qualification for the theme specialized librarians was said to be higher than a master's degree and 4 to 7 years or longer of relevant work experience and must be managed as a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that the discussions of the specialization service comprised of the training system for specialized librarians,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theme specialized librarian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cooperation with the theme related organizations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specialization service, among others.
강미혜. 1999. 주제전문사서직의 일반전공 교육에 관한 비교연구: 주제전문사서, 학과제 학생, 학부제 학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3(1): 129-144.
강미혜. 2002. 주제전문사서의 양성을 위한 주제서지과목 과제방안 연구-법률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3): 49-68.
김세훈. 2004. 도서관 전문성 강화방안: 사서 전문성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노영희. 2017. 도서관의 특성화 정책과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3):241-271.
노영희. 2009. 대학도서관의 규모별 주제전문사서체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101-117.
노영희. 2008. 주제전문서비스 운영실태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4): 97-123.
노영희, 강정아. 2014. 공공도서관에서의 향토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학회지』, 45(4): 67-93.
박미영. 2007. 공공도서관 특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독서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315-339.
박온자. 2005. 공공도서관의 청소년서비스에 관한 연구: 미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2): 5-33.
박현주. 2012. 공공도서관 장서특성화 사례 연구: 인천 화도진도서관 향토개항문화자료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2 년도 동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9-47.
반달림, 오동근. 2015.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자료운영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년 2015 년도 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71-181.
심원식. 2009. 주제전담사서 양성을 위한 사서 재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541-560.
송갑순. 2004. 부산광역시립공공도서관 특성화사업에 대한 연구: 교육청 소관 11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이소연. 2004.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문화 서비스 활성화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3): 23-43.
이수영. 2017.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서비스 품질분석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정보서비스전공.
이용재. 1998. “현단계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의 주제사서제 활용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29: 273-311.
정동열. 2002. 지식기반시대 대학도서관의 주제 전문화 역할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3): 5-23.
차연호. 2005. 『공공도서관 서비스 특성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조찬식. 2008. 공공도서관의 특성화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5(3): 159-178.
홍희경. 2008. 『도서관 특성화의 현황과 발전방안 모색 : 6개 지역 공공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인적자원정책전공.
황재영. 2011.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현황과 사서의 인식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137-158.
Martin, J. V. 1996. “Subject specialization in British university libraries: a second survey.”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28(3): 159-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