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교육격차와 정보활용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도서관과 정보생활』교과의 Ⅰ․Ⅱ 영역을 중심으로-

A Correlation between the Education Gap and Information Literac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8, v.49 no.2, pp.179-199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179
강봉숙 (대구서부고등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이 가진 경제적 여건의 차이, 즉 교육격차에 따른 기초적 정보활용능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첫째, 학교별 정보활용교육 경험의 차를 통제할 수 있는 고등학교 1학년 629명을 대상으로 3월에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더불어 학교 정보공시에 제시되는 학교별 고교 학비 지원 학생 비율로 학생들의 경제적 여건에 따른 학교별 교육격차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교육격차와 정보활용능력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교별 고교 학비 지원 학생 비율로 설명할 수 있는 교육격차와 정보활용능력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강하게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교육격차가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의 I II 영역별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교육격차에 따른 정보활용능력 점수의 회귀방정식을 도출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정보활용능력 격차를 완화시켜 갈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강조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체계적 정보활용교육의 제도화를 통해 이상적인 수준의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력 함양으로 교육격차를 보다 직접적이고 효율적으로 해소하는 발판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Education Gap, Information Divide, Information Literacy, School Library, Teacher Librarian, 교육격차, 정보격차, 정보활용능력,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economic condition of students, that is, the difference of basic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stemming from education gap. First, we investigated information literacy for high school freshmen who can control the difference of information utilization education experience by school. In doing the research, 629 high schoo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city were surveyed using web. we analyzed the educational gap between schools depending on their economic condition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 gap and basic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ver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students who get support for school expenses and basic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Second, regression equation was produc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f information literacy regression to analyze the effect of educational gap on basic information literacy. In addition, it seeks to consider alternatives that can improve the inequality of information literacy which is derived from education gap.

keywords
Education Gap, Information Divide, Information Literacy, School Library, Teacher Librarian, 교육격차, 정보격차, 정보활용능력,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참고문헌

1.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cited 2018. 3. 22].

2.

김홍렬. 2016. 도서관통계에 나타난 정보취약계층의 지표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3):193-214.

3.

박경호. 2017. 『교육격차 실태 종합 분석』. 진천: 한국교육개발원.

4.

손명희. 2003.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공공도서관 역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대학원.

5.

윤희윤. 2012. 공공도서관의 지식정보 취약계층서비스 전략.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53-75.

6.

이병기. 2013. 길포드의 지능구조모형에 의한 정보활용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성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 181-200.

7.

이재신, 이영수. 2010. 부모 학력과 독서 효능감이 고등학생의 독서에 미치는 영향 : 부르디외의문화자본을 중심으로. 『한국출판학연구』, 36(2):251-281.

8.

장덕현. 2012.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강화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3): 193-210.

9.

장미숙. 2006. 『학생 정보활용능력의 지역간 격차 해소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10.

정신우. 2002. 『지역적 기반에 따른 청소년 계층의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11.

학교알리미. <http://www.schoolinfo.go.kr/> [cited 2018. 5. 3].

12.

한국도서관협회 학교도서관 교육과정위원회. 2007.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 교육과정 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3.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2017. National School Library Standards.<https://standards.aasl.org> [cited 2018. 3. 26].

14.

Byun, Soo-yong. 2008. Cultural capital and school success: The Case of South Korea. Ph. D. diss., Graduate School of University of Minnesota.

15.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IFLA). GUIDELINES ON INFORMATION LITERACY FOR LIFELONG LEARNING. <http://archive.ifla.org/VII/s42/pub/IL-Guidelines2006.pdf> [cited 2018. 3. 26].

16.

Yu, Liangzhi. 2011. “The divided views of the information and digital divides: A call for integrative theories of information inequality.”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archive, 37(6): 660-679.

17.

School Library Curriculum Committee of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07. The Subjects Curriculum Standar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kills.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